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中 긴축 가능성 크게 높아져"

한은 "1분기 고성장따라 과열 우려…급격한 긴축은 없을듯"


중국이 지급준비율, 기준 금리 추가 인상 등의 긴축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다는 분석이 한국은행에서 나왔다. 한은은 27일 배포한 ‘해외경제 포커스’를 통해 “중국경제는 1ㆍ4분기 중 수출 호조와 소비 증가세 확대 등에 힘입어 11.1%의 예상외 고성장을 기록했다”며 “유동성도 계속 증가하고 투자 증가세가 확대됨에 따라 과열 우려가 다시 제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하지만 중국 당국은 현 상황을 과열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다만 안정 성장을 위해 부동산 투자 등 일부 부문의 투자억제와 유동성 과잉 해소는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중국경제 상황에 비추어 일부 과열 우려도 제기됨에 따라 추가 긴축 가능성이 크게 증가했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라며 “경기과열의 근원이 되고 있는 과잉 유동성의 해소를 위해 지준율 또는 기준금리의 추가 인상이 단행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한은은 중국 정책당국이 경제 위축을 초래할 급격한 긴축 조치는 시행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또 중국 당국의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최근 주식과 부동산 시장이 안정세를 보이는 점을 감안할 때 중국의 자산 버블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한은은 “중국정부는 올해 가을의 중국공산당전국대표회의(중전회), 내년 베이징올림픽 등의 일정을 앞두고 경기의 급등락을 경계하는 한편 자본시장 육성을 통한 직접금융 활성화와 국유기업 개혁 가속화 등의 추진을 위해 자산시장의 급격한 위축은 원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다만 “투자가들의 증시과열에 대한 경계심리 확산 등으로 외부 충격에 대한 변동성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또 “최근 제정된 물권법이 사실상 토지소유권을 인정하고 상속까지 보장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주택소유의 붐이 발생하면서 부동산 가격이 또다시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