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제3연륙교·루원시티·검단신도시… 출구 못 찾는 '인천시 3대 사업' 또 해 넘긴다

●제3연륙교, 영종대교 등 손실보전 싸고 논란

●루원시티, 부동산 경기불황 탓에 착공 못해

●검단신도시, 택지공급 위축 우려 7년째 제자리


루원시티 등 인천시의 대표적인 현안사업들이 출구전략 조차 찾지 못한 채 또 한 해를 넘길 전망이다. 제3연륙교, 루원시티, 검단신도시 등이 대표적으로 이들 사업들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함께 추진돼 왔지만 부동산 침체와 사업주체간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다. 송영길 전 인천시장 때부터 꼬인 실타래를 유정복 시장도 풀지 못한 채 허송세월만하고 있어 서둘러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9일 인천시와 인천도시공사에 따르면 제3연륙교는 인천 육지(청라)와 영종도를 잇는 세 번째 다리로, 길이 4.85㎞, 폭 27m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건설비 5,000억원은 청라·영종지역 개발 당시 아파트 분양가에 포함돼 LH가 이미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제3연륙교 개통될 경우 민간자본으로 지은 영종대교와 인천대교 운영사가 입을 손해를 누가 보전해줄 것인지를 두고 논란이 지속되면서 착공이 미뤄지고 있다. 인천시는 시와 국토교통부, LH가 공동 부담하는 것으로 하고 '선 착공 후 협상'을 주장하고 있지만 국토부는 '손실보전금 전액을 인천시가 부담한다'는 확약 없이는 착공할 수 없다고 버티고 있다. LH도 건설비 5,000억원 외에는 추가 사업비를 한 푼도 부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기관들이 이견차를 좁히지 못해 세월만 보내고 있다.


프랑스의 라데팡스를 벤치마킹해 국내 첫 입체복합도시로 만들기로 한 루원시티 조성사업도 진전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관련기사



인천시와 LH는 인구 3만명이 사는 서구 가정동 가정오거리 일대 구도심 97만1,892㎡를 전면 철거하고 1만1,291여 가구(2만9,808명)가 입주하는 첨단 입체복합도시를 건설하겠다며 2006년 8월 이 사업을 시작했다. 1조7,508억원 규모의 토지보상은 2010년 11월에 완료했다. 1만1,784건의 보상도 100% 끝마쳤다. 그러나 비싼 조성원가와 부동산 경기불황 때문에 착공조차 못하고 있다. 루원시티 조성원가는 3.3㎡당 2,120만원으로 송도나 청라 조성원가의 5∼10배에 이를 정도로 비싸다. 실효성 있는 부동산 개발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하루 이자가 2억4,000만원씩 쌓여가는 데도 손을 쓸 수 없는 상태다.

검단신도시도 조성사업도 마찬가지다. 서구 검단동 일대(당하·원당·마전·불노) 1,812만㎡ 부지에 7만800여 가구(17만7,000명)가 입주할 대규모 신도시를 개발하는 이 사업은 2007년 인천시와 인천도시공사, LH가 함께 시작했지만 7년째 제자리걸음이다.

이 사업에는 모두 9조3,239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이미 3,000여억원이 넘는 이자를 지출했지만 사업 진척은 없고, 출구도 찾지 못하고 있다. 부동산 침체 등으로 택지공급 위축이 우려(투자비 회수 지연)돼 사업 착수 조차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최근 한국지역개발학회 등 2곳에 3억5,900만원을 들여 개발에 따른 손실 최소화를 위해 개발계획변경안을 이달중 마련했으며 내년부터 사업 추진계획을 새로 마련할 방침이지만 얼마나 현실화될 지는 미지수다. 이에 대해 인천 경제계의 한 관계자는 "유정복 시장은 지난 7월 취임 초 국토부·LH와 심도있는 논의를 하는 등 사업에 진척이 보이는 듯 했으나 시장으로 취임 한 지 5개월이 지나도록 아무런 대책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시가 좀 더 적극성을 갖고 교착에 빠진 대형 사업의 방향성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인천시 관계자는 "제3연륙교와 루원시티, 검단신도시 문제는 관계 부처·기관 간 견해가 첨예하게 엇갈려 단기간에 해결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관계기관과 지속적인 협의로 조속한 시일 안에 사업 추진의 돌파구를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