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남북정상회담] 정상회담 이뤄지기까지

11개월간 盧대통령 비선라인 총동원

‘8ㆍ28 남북 정상회담’은 지난해 10월부터 11개월 동안 노무현 대통령의 비선 라인이 총동원된 결과물이다. 정부는 그동안 회담 가능성이 제기될 때마다 철저하게 부인으로 일관하면서 극도의 보안하에 추진해왔다. 남북 정상회담이 첫 발걸음을 뗀 것은 지난해 10월 초. 그전에도 6ㆍ15공동성명의 정신을 살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답방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해왔지만 남북간의 실질적인 접촉은 거의 없었다. 그러던 차에 지난해 10월9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노 대통령의 오른팔인 안희정씨의 대북접촉설이 터져 나왔다. 비선 라인이 가동된 첫번째 케이스였다. 베일에 가려 있던 안씨의 대북접촉은 공식 채널을 통한 접촉으로 변하면서 언론에 노출되기 시작했다. 안씨는 북한이 KOTRA 출신 권모씨 등을 통해 만나자고 한 제안을 수락해 이호남 참사와 접촉했다고 시인했다. 하지만 북한이 쌀과 비료 지원 재개 등을 요구해왔다는 점만 밝힌 채 남북 정상회담 밀사설은 철저하게 부인했다. 안씨의 바통을 이어받은 것은 이해찬 전 국무총리. 이 전 총리의 측근인 이화영 열린우리당 의원이 중개 역할을 맡았다. 안씨와 이 참사의 회동에도 동행했던 이 의원은 올 초 직접 평양을 방문해 노 대통령의 의사를 전했다.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논의가 테이블에 본격적으로 올라온 것도 이때로 관측된다. 실제 노 대통령은 신년 회견에서 “상대가 응한다면 언제 어디서나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회담에 응할 의향이 있다”며 의지를 드러냈다. 정상회담이 본궤도에 들어선 것은 3월 초순. 이 전 총리가 북한을 방문하면서부터였다. 청와대는 대통령 특사설을 강하게 부인했지만 정치권에서는 정상회담을 위한 사전정지 작업이라는 분석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였다. 정상회담이 성사단계에 이른 것은 7월 초. 우리 측은 실무 책임자로 김만복 국가정보원장을 내세웠고 북측은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을 협상자로 제안했다. 북측은 7월29일 김 부장 명의로 ‘8월2~3일 국정원장이 비공개로 방북해달라’며 공식 초청했고 김 원장은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두 차례에 걸쳐 비공개 방북해 북측과 협의, 회담 개최에 합의했다. 김 원장 방북 당시 김 부장은 “8월 하순 평양에서 수뇌상봉을 개최하자”고 제안했고 8월3일 서울로 돌아온 김 원장의 보고를 받은 노 대통령은 북측의 제안을 수용하라고 지시했다. 김 원장은 4일 다시 방북해 “북측의 정상회담 개최 제안을 수용한다”는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고 김 원장과 김 부장은 ‘제2차 남북 정상회담 개최 합의서’에 서명함으로써 결실을 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