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교수·연구원 '기술창업' 활기


대학 교수나 연구원들이 벤처기업을 차리는 ‘기술창업’이 크게 활기를 띄고 있다. 19일 중소기업청에 다르면 대학 교수와 연구원이 설립한 벤처기업은 지난 8월말 현재 2,032개에 달해 작년 전체의 1,761개에 비해 15.3%(271개)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형 창업은 지난 2005년에 2,290개까지 치솟은 이후 창업 실패와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2008년엔 1,555개까지 떨어지는 등 줄곧 감소세를 보여왔다. 이는 지난 8월말 현재 국내 벤처기업처이 2만2,000여개인 점을 감안할 때 전체의 10%에 육박하는 수준인 셈이다. 중기청은 최근 우수 기술인력의 창업을 촉진하는 제도가 활발히 도입되면서 이 같은 기술창업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난해 1월부터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개정됨에 따라 공공기관에 속해 있는 교수와 연구원도 창업 준비기간을 포함해 3년 동안 휴직할 수 있다. 교수와 연구원은 창업할 때 휴ㆍ겸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기술창업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예비 창업단계에서도 사업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가 마련돼 창업 부담이 줄어든 점 도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대학 및 연구기관은 보유기술 등을 출자해 영리활동을 할 수 있으며 기관 내에 창업ㆍ벤처기업단지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도 시행돼 창업자들의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중기청의 한 관계자는 “기술창업을 장려하는 것은 산ㆍ학 연계의 실질적 기반을 구축해 경쟁력 있는 기업을 육성하는 일”이라며 “고용 없는 성장이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