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투자결정 빨라지고 경영진 젊어졌다

롯데 '신동빈 부회장號' 출범 3주년<br>백화점 임차방식으로 확장 효율 높여


롯데가 ‘신동빈(52ㆍ사진) 부회장 호(號)’ 출범 3년을 맞았다. 신부회장이 경영 일선에 등장한 것은 2004년 10월 정책본부장에 취임하면서부터. 후계자 수업을 마치고 경영에 본격 참여한 지 3년이 지난 지금, 롯데는 과거와는 몰라볼 정도로 달라졌다는 평가다. 투자방식 변화가 대표적이다. 예전엔 부동산을 매입해 백화점을 짓고 자산가치를 증식시켰지만 이젠 속도있게 임차방식으로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올해 오픈한 청주점, 대구점 등 영플라자 2, 3호점이 임차 방식이고, 개점 예정인 부산점도 마찬가지다. 모스크바 백화점은 물론 최근 결정된 송도, 수원, 판교 등 대형쇼핑몰 입점 부지도 모두 임차다. 롯데측은 “임차방식은 의사결정도 빠를 뿐더러 리스크도 줄이고 수익성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투자여서 앞으로 더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방식 변화에서 볼 수 있듯이 의사결정 과정도 달라졌다. 예전의 롯데는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너는 스타일이었지만 이제는 기회만 포착하면 신속하고 과감하게 업무를 추진한다. 예컨대 인수합병(M&A)의 경우 과거엔 검토만 하다가 그만두는 일이 비일비재 했는데 요샌 어느 기업보다 M&A에 발 빠르게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최근 이뤄졌던 우리홈쇼핑, 빅마트, 중국 초콜릿 회사 인수 등이 그렇다. 경영진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신부회장이 경영에 참여한 뒤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CEO는 2005년 6명, 2006년 4명, 2007년 3명이다. 2004년 1명과 대조적이다. 신격호 회장이 경험을 중시하고 한번 맡기면 쉽게 교체하지 않는 반면 신부회장은 실적과 효율을 중시하는 경향이 큰 탓이다. 자연스럽게 경영진 연령도 60대에서 50대로 젊어졌다. 주력업종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과거엔 부동산을 기점으로 식품과 관광이 주였지만 이젠 화학과 유통, 금융이 주력으로 부상중이다. 특히 신부회장은 롯데카드, 롯데캐피탈 등 금융 쪽에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시장경제에도 긍정적이어서 계열사 상장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부회장은 또한 기존 유통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 일본과 국내에서 벗어나 중국, 러시아 등 이머징마켓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현해탄 경영’에서 ‘글로벌경영’으로 전환한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