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버블세븐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치솟는데 강남3구만 제자리

4·1대책 혜택 못받는 아파트 많아<br>낙찰가율 0.05%P 상승 그쳐


버블세븐 지역의 아파트 경매낙찰가율이 6개월 연속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강남3구의 낙찰가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주목되고 있다.

부동산태인은 지난 5월 경매에 부쳐진 버블세븐 아파트 544개를 조사한 결과 강남3구의 낙찰가율은 78.25%를 기록해 버블세븐 지역 중 가장 낮았다고 5일 밝혔다.


강남3구의 경우 4월만 해도 78.2%의 낙찰가율을 보이며 평촌에 이어 낙찰가율이 두 번째로 높았지만 응찰자와 입찰경쟁률이 감소하면서 지난달 0.05%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관련기사



반면 강남3구 이외의 지역은 응찰자와 입찰경쟁률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낙찰가율이 많게는 6%포인트 이상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목동의 낙찰가율은 4월보다 6.28%포인트 오른 82.33%로 나타나 가장 높았고 분당 역시 6.24%포인트 상승한 82.3%를 기록했다. 평촌도1.63%포인트 오른 82.35%로 세 지역 모두 82%를 넘었다. 지난해 5월 낙찰가율이 65%까지 떨어졌던 용인도 1년 만에 79.92%를 기록하면서 80%에 육박했다.

이처럼 강남3구와 나머지 지역 사이에 온도 차가 발생한 것은 지역별 아파트 값 차이가 반영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강남3구 아파트 중에는 4·1대책 수혜를 받지 못하는 고가의 아파트(낙찰가 6억원 초과, 전용면적 85㎡ 초과)가 타 지역보다 많기 때문에 이것이 입찰가에 반영되면서 낙찰가율 상승에 제동을 걸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5월 한 달간 경매 낙찰된 강남구 소재 아파트 16개 중 11개가 낙찰가 6억원, 면적 85㎡를 모두 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강남3구의 경매시장이 주춤한 모양새인 것은 맞지만 이는 정책 수혜를 받지 못하는 고가 아파트 낙찰가가 시장 왜곡을 유발한 결과"라고 말했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