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미국은 3분기 GDP 성장률이 5.0%라는데

미국 경제가 폭발적인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미 상무부는 23일 3·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연간 환산 기준 5.0%로 확정됐다고 발표했다. 10월 발표된 잠정치 3.5%보다 무려 1.5%포인트 높을 뿐 아니라 2003년 3·4분기 이후 11년 만에 가장 빠른 성장속도다. 이날 발표된 영국과 프랑스의 3·4분기 성장률 0.7%와 0.3%에 견줘보면 가히 독보적이다.


성장동력은 소비심리와 저유가 등이었다. 미 상무부의 지난달 통계를 보면 미국인의 소비지출 증가율은 0.6%로 높아졌고 개인소득 증가율도 0.4%로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저유가에 따른 소비여력도 커졌다. 자동차 서비스 업체 AAA 집계 결과 2·4분기에 1갤런(약 3.8리터)당 3달러대였던 일반등급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22일 현재 2.39달러로 떨어져 미국 소비자들에게 돌아가는 경제적 이득이 하루 약 4억5,0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관련기사



한국의 경기흐름은 미국과 대조를 이룬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는 102로 지난해 9월 이후 15개월 만에 최저치로 주저앉았다. 국민의 호주머니 사정도 형편없다. 3·4분기 국민총소득(GNI)은 전 분기보다 0.3% 증가하는 데 그쳐 30개월 만의 최저 수준이고 월평균 실질임금 증가율도 0.08%로 6분기 연속 뒷걸음질쳤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가계부채는 1,000조원을 넘어서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증가속도가 가장 빠른 실정이다. 덩달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도 '비관' 일색이다. 기획재정부는 당초 4.0%로 예상했던 내년 성장률을 3.8%로 수정했고 국내외 연구기관들도 3.1~3.7%로 낮춘 수정 전망치를 줄줄이 내놓았다. 심지어 소비자의 기대인플레이션율까지 2.6%로 역대 최저치를 찍으면서 '디플레이션 경고등'이 켜졌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상황 반전이 필요하다. 이 시점에 5%의 고공성장을 달성한 미국 경제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부는 가계의 소비심리 회복에 힘쓰고 '가계소득 증대 세제 3대 패키지' 등을 통해 소득확충을 도와야 한다. 아울러 유가하락이 소비확대로 이어진 미국과 달리 왜 우리에게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국제유가가 내렸다고 대통령이 직접 나서 전기요금 인하를 압박하는 것은 진정한 해법이 아니다. 사학·군인연금 개혁방침을 하루 만에 뒤집는 행태 등이 오히려 정책 신뢰를 훼손할 뿐이다. 미국과 달리 기업투자가 저조한 까닭도 우리 안에서 찾아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