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9일 줄기세포 논란을 예의 주시하며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내부적으로는 황우석 교수의 진술에 허점이 드러나면서 선을 그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서울대 조사위원회가 각종 의혹에 대한 조사에 속도를 내면서 일단 그 결과를 지켜본 뒤 대응하자는 쪽이 우세하다.
한 정부 관계자는 “황 교수의 기자회견 내용에 논리적으로 모순되는 측면이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지난 1월 오염된 줄기세포의 경우 통상 연구과정에서 만드는 분주 줄기세포를 확립하지 않았고 줄기세포 오염 이후 사이언스 논문 통과 시점까지 2개월밖에 걸리지 않은 점 등을 꼽았다.
이와 함께 “황 교수가 동결 보관 중인 줄기세포가 5개 있었다면 의혹이 제기될 당시부터 진작에 해동 작업을 해야 했는데 이를 지체한 이유 등도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정부 측은 이 같은 정황을 감안, 최악의 상황을 상정한 대책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관계자는 “서울대 조사위의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섣불리 움직이기는 힘드나 여러 상황을 대비해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줄기세포 오염 이후 황 교수가 추가로 줄기세포 5개를 확립했다고 한 데 대해 100여개의 난자가 필요했을 것으로 보고 이를 어떻게 구했는지 등을 조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일단 서울대 조사위의 조사 내용을 지켜보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한편 황 교수팀의 줄기세포 연구성과 진위 논란이 ‘진실싸움’ 양상으로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검찰은 수사 여부에 대해 거듭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서울중앙지검 황희철 1차장검사는 19일 기자들과 만나 “서울대 조사위와 미국 피츠버그대학에서 이 사안을 조사하고 있기 때문에 내용에 관해서는 정확한 결론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며 “과학계의 컨센서스(의견일치)가 이뤄지면 수사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황 차장검사는 논문조작과 관련, “논문조작은 학계가 평가하고 대처해야 할 문제이지 검찰이 수사해야 할 분야는 아니다”며 “연구비 문제도 재검증 뒤 관계기관이 검토해야 할 문제인 듯싶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