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물인터넷(IoT)은 생활 속 모든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을 말한다. 아직 초기 시장 단계이지만 부가가치가 높아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우리가 기술적 표준화 작업을 비롯해 국제 제도 정비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경우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새로운 '노다지 시장'을 선점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우리나라는 이를 위해 20일부터 개막하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에서 △IoT 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 설정, 제도 개선에 대한 ITU의 적극적인 역할 독려 △주파수 이용 및 기술 표준 연구 △개발도상국 지원을 위한 상호협력 활성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IoT 관련 의제를 제시하고 본회의에서 의결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쏟을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IoT 관련 표준화 작업에서 ITU가 기준점이 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현재 IoT 표준화 작업이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는 민간 국제단체가 개별적으로 진행하고 있어서다. 기업체들이 주도하는 이들 단체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반면 국가 단위 기구에서는 한국이 어느 정도 지위를 확보하고 있어 ITU의 역할이 강화될수록 우리에게는 유리한 상황이 조성된다.
정보통신표준화총국(ITU-T)의 JCA-IoT(IoT 협력 조정 그룹)에서 3년째 국제 의장을 맡고 있는 김형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센터장은 "현재 IoT와 관련해 지역별·분야별로 표준화 기구가 너무 많다"며 "IoT 산업계에서 한국의 리더십은 취약하지만 ITU가 표준화를 총괄하게 되면 우리도 힘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IoT를 위한 주파수 이용 연구 필요성에 대한 사안도 본회의에서 채택될 경우 국익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정부는 한국이 개발 중인 5G 기술을 내년 세계전파통신회의(WIC)에 국제 표준으로 제시할 예정인데 이번에 ITU 차원에서 별도의 IoT 주파수의 필요성이 인식되면 채택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5G는 앞으로 IoT 활용에 주축이 될 통신기술로 이미 특정 주파수를 표준으로 할 수 있게끔 개발되고 있다.
이상학 미래창조과학부 ITU 전권회의 준비기획단 부단장은 "IoT만을 위한 주파수 대역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라며 "한국의 의제가 채택되면 한국이 주도권을 갖고 IoT 분야에서 세계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일부 이슈에 이견을 표하는 국가도 있어 원안 그대로 본회의에서 결의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이미 민간 표준화 단체 등에서 IoT를 주도하고 있는 기업을 보유한 선진국가들이 ITU의 위상 강화를 탐탁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IoT를 기반시설이 아닌 서비스로 보는 시각에서는 이번 의제가 전권회의 성격과는 맞지 않는다며 다른 국제회의에서 다뤄야 한다는 주장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제에 대해 각국 실무자들의 동의를 구하는 작업을 맡고 있는 박종봉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부장은 "의제 일부 문구에 대한 지적도 있지만 상당수 국가에서 지지 의사를 보내는 등 전반적인 분위기는 나쁘지 않은 편"이라고 전했다.
한편 우리 정부는 IoT 촉진 의제와 함께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확대에 대한 의제도 함께 제시한 상태다. 한국은 이 의제를 통해 지속가능 성장 목표 달성을 위한 ICT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른 산업에서 ICT 활용·협력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