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복원이 서울의 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상상외로 크다. 복원 사업이 시행되면 청계천 주변의 재개발 효과와 함께 전국적인 생산ㆍ부가가치 유발효과가 15조원, 고용효과도 20만여명에 달할 것이라는 것이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하 시정연)의 분석이다.
시정연이 발표한 `청계천 복원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를 보면 청계천 주변 재개발 대상 34만4,000여평 중 주거지역과 학교ㆍ공원부지 등 재개발 필요성이나 가능성이 낮은 지역을 제외한 11만8,000여평을 재개발할 경우 건물 철거비와 공사비 등 약 4조2,150억원이 소요된다.
그러나 이 같은 재개발 투자에 의해 유발되는 생산효과는 건설과 1차 금속, 일반기계,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도ㆍ소매업 등을 중심으로 서울에서만 6조4,765억원이 창출되고 전국적으로는 10조9,489억원에 이른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산업활동의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부가가치효과도 건설과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도ㆍ소매업, 금융ㆍ보험업을 위주로 서울 3조2,015억원 등 전국에 걸쳐 4조7,100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창출 효과도 엄청나 청계천 주변 재개발은 건설부문에 10만4,000명, 도ㆍ소매업에 2만8,000명, 금융ㆍ보험업에 9,900명 등 서울에 16만9,000명을 포함해 모두 20만4,464명에 달한다.
게다가 청계천 복원공사가 마무리되면 주변 지역이 국제금융 거점으로 탈바꿈해 외국투자자를 끌어 들인다는 게 서울시의 주장이다.
시는 이를 위해 개발사업의 경우 기본적으로 민간이 주도하되 국제금융(무교동), ITㆍ인쇄(세운상가), 패션(동대문시장) 등 전략 재개발 지역에 대해선 적극 개입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청계천 주변지역 개발 구상은 최근 시정연이 발표한 `청계천 주변 4대문안 도심권 정비 방향`에서 밑그림이 그려진 상태다.
시의 계획대로라면 공사가 마무리되는 2005년 청계천 주변은 특성보존지구(관철동 광장시장), 재개발지구(삼각동 숭인동), 자율갱신지구(방산시장 창신동 숭인동 황학동 신설동), 종합정비지구(동대문운동장) 등 4개 권역으로 특화개발돼 서울경제의 중심으로 우뚝 서게 된다.
<최석영기자 sychoi@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