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곡물ㆍ원자재 가격 급등에 적극 대응해야

원유ㆍ구리 등 원자재는 말할 것도 없고 설탕ㆍ밀ㆍ옥수수 등 주요 상품의 국제 가격이 연일 치솟으며 지구촌은 물론 우리 경제에도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 원자재의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로서는 원가상승에 따른 기업수익 악화와 수출부진 및 물가상승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에서는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국내 석유제품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가의 경우 런던선물시장의 3월물 브렌트유는 장중 배럴당 103.37달러까지 올라 28개월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다. 구리 선물가격 역시 뉴욕상품거래소에서 파운드당 4.58달러까지 뛰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쌀도 100파운드당 16.285달러까지 올라 28개월래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3월 인도분 설탕 가격은 파운드당 36.08센트로 30년 만에 가장 높은 시세에 거래됐다. 쌀ㆍ설탕ㆍ밀과 옥수수 등의 가격급등으로 지난달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산정한 식품가격지수는 3.4% 상승해 7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며 지난 1990년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곡물을 비롯한 상품과 원자재시세가 급등하는 것은 글로벌 경기가 회복세로 돌아서자 수요는 늘어나는 반면 악천후 등으로 공급이 줄어 수급불균형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같은 상품과 원자재시세의 급등세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 회복기에 들어선 세계 경제는 물론 우리 경제에 타격을 준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큰 걱정은 물가불안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4.1%나 뛰어 정부 억제선을 넘었다.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는 하지만 국제시세가 계속 뛰고 있어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이집트 소요사태가 악화돼 수에즈운하가 폐쇄될 경우 유가가 배럴당 200달러까지 치솟을 것이라는 경고도 나왔다. 현재 그럴 가능성은 낮지만 최악의 경우를 가정해 대책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단기적으로는 관세의 탄력운용, 정부 비축물량 공급 확대 등을 통해 수급불안을 해소해 물가상승 압력을 억제해야 한다. 나아가 해외자원 개발을 강화하고 자원부국과의 경제협력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 쌀을 제외한 자급률이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농산물의 취약한 수입구조도 개선해야 한다. 안정적인 비축물량 확보를 비롯해 곡물 메이저에 의존한 지금까지의 방식에서 탈피해 한국형 국제곡물회사를 설립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