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CEO&STORY] 강신섭 법무법인 세종 대표변호사

'법 위에 사람 있다'는 만고불변의 진리

기본권 존중·신뢰로 세종號 바로세웠죠

JP모건 소송·M&A 등 이슈서 '스타 변호사' 반열에

"소송도 사람 일인 만큼 인간중심으로 생각해야 옳아"


직원 채용엔 평등 최우선… '음서' 없애고 전문성 키워

대표 취임2년만에FT 선정 아태지역 최고 혁신 로펌상


지난 6월 국내 법무법인(로펌) 업계의 시선이 일제히 법무법인 세종으로 쏠렸다. 일본과 중국 등의 유명 로펌을 제치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선정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기업별 분야 최고 혁신 로펌상'을 거머쥐었기 때문이다.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이 상은 기업 법률 분야에서 가장 혁신적인 방법으로 업무를 수행한 로펌에 주어진다. 세종은 독창성·합리성·영향력에서 가장 높은 점수(26점)를 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른바 '강신섭 효과'가 빛을 발한 순간이었다. 이번 수상은 강신섭(57·사진) 대표변호사가 세종호 선장으로 합류한 2013년 이전에는 상상조차 하기 힘든 일이었다. 당시 세종은 실적만 봐도 역성장 추세를 이어가는 등 '첩첩산중'이었다. 변호사 수에서는 이미 법무법인 광장에 추월당했다. 법무법인 율촌이 무서운 속도로 추격하는 가운데 경쟁 로펌인 태평양과의 격차도 한층 벌어졌다.

하지만 세종이 '강신섭 DNA'를 이식하면서 상황은 180도 달라졌다. 2012년 1,300억원에 머물던 매출은 2년 새 1,512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297명이던 변호사 수도 올해 341명으로 늘어나는 등 사세가 확장됐다. 풍랑 속 세종호가 선장을 바꾼 게 '신의 한 수'로 작용한 셈이었다.

세종의 체질개선을 이끈 강신섭 DNA의 한가운데에는 '기본권의 존중과 신뢰'가 자리하고 있다. 14일 서울 남산 자락에 위치한 사무실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난 그가 처음 꺼낸 단어도 이 두 가지. 또 마주 앉아 한 시간여를 이야기하는 동안 '휴먼과 믿음'이라는 단어도 즐겨 썼다. 강 대표의 말에는 아무리 법이 지배하는 세상이라지만 '법 위에 사람이 있다'는 게 만고불변의 진리라는 그의 오랜 지론이 담겨 있었다.

강 대표는 "법의 원리·원칙은 헌법과 민법 총칙에 고스란히 쓰여 있다"며 "인간 기본권 존중과 신뢰가 그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해박한 법률 지식만으로는 좋은 판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며 "소송도 사람의 일인 만큼 인간을 중심으로 생각해야만 고객이 바른길로 갈 수 있도록 조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헌법상 기본권을 중시하고 믿음으로 사람을 바라본다'는 철칙은 강 대표가 세종에 합류한 후 발자취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세종 대표변호사로 자리를 옮기고 가장 먼저 메스를 댄 부분은 직원 채용 방식. 평등이라는 원칙 아래 공정한 인재 등용을 위해 '음서 채용(고려·조선시대에 공직이나 전현직 고관의 자제를 과거에 의하지 않고 관리로 채용하던 제도)'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신입 변호사는 물론 직원을 뽑을 때도 경영진의 아들이나 며느리 등 친인척을 채용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사법연수원 13기 출신인 그는 서울지법 판사, 대법원 재판연구관 등으로 11년간 재직하고 1998년 법률사무소를 개업했다. 그 무렵 'JP모건·SK증권' 소송으로 '스타 변호사' 반열에 올랐다. 이후 기업 간 인수합병(M&A), 수익증권환매대금 소송 등에서 승승장구하고 현재 세종 대표변호사 자리까지 오르는 엘리트 코스를 밟은 그였지만 로펌 업계에 만연해 있는 '뒷배경' 인사 관례와는 절대 타협하지 않았다.

소통에도 경계를 허물었다. 강 대표는 점심식사 시간이면 남녀노소 상관없이 후배 변호사를 찾는다. 자투리 시간에도 회의실에서 젊은 변호사와 토론하기를 즐긴다. 짧은 시간이나마 법조계 뒷얘기를 알리고 다양한 생각을 교류하기 위해서다.

탄탄대로를 걸어온 강 대표가 체질변화에 이어 주목하는 것은 전문성 강화다. 노동·환경·세금 등 고객 요구를 한 번에 충족시킬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준비작업이 한창이다.

먼저 도제(어려서부터 스승에게서 직업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능을 배우는 직공) 시스템을 바탕으로 젊은 변호사들을 굵직한 소송에 투입하고 있다. '경험이 최고의 스승'이라는 말처럼 최일선에서 스스로 배우게 하겠다는 의도다.

또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으로 세종의 미래 역꾼을 양성하는 데 역점을 뒀다. 현재 세종은 신입 변호사들을 위해 △업무처리 요령 △준비서면 작성 △증인 신문 요령 등으로 구성한 오리엔테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비롯해 외부 강사를 초빙해 강의하는 법률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 오는 2017년 법률시장 3단계 개방에 발맞춰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매년 5~10명의 변호사를 미국·영국 로스쿨에 유학을 보내는 지원 프로그램도 시행하고 있다.

"변호사들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최고는 경험입니다. 홈플러스 매각 등 큰 사안에도 젊은 변호사들과 노동·세금·금융 분야 최고 베테랑 변호사들을 함께 배치한 이유도 이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선배 변호사들에게 배우고 실전을 통해 경험을 쌓아 최고로 발돋움하라는 의미입니다. 바로 신구 조화를 통해 최고의 작품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는 마지막으로 "재임 기간 최고의 변호사를 육성해 명실공히 국내 로펌 시장의 넘버원으로 우뚝 서는 게 목표"라며 "우공이산이라는 좌우명과 같이 우직하게 목표를 향해 정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He is…

△1957년 전북 김제

△1974년 남성고교

△1979년 서울대 법학과

△1981년 제23회 사법시험

△1983년 사법연수원 제13기


△1986년 서울중앙지방법원 의정부지원 판사

관련기사



△1991년 프랑스 국립사법관학교

△1992년 전주지방법원 판사

△1995년 서울고등법원 판사

△1997년 대법원 재판연구관

△1998년 변호사 개업

△2001년 법무법인 세종

△2001~2002년 사법연수원 민사법 외래교수

△2003~2004년 법무부 정책위원회 위원

△2006~2010년 금융감독원 금융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08~2012년 서울시 장학재단 이사

△2008년 대한변협 법률구조재단 이사

△2008년 대한변협 사법평가위원회 위원

△2009~2011년 국무총리 행정심판위원회 비상임 위원

△2013년 법무법인 세종 대표변호사



● 한국 로펌 '국제화' 성공하려면

현지 실력있는 로펌과 협력해 국내 기업 해외진출 지원하고
해외 로펌 국내진출도 대비를

김흥록 기자 rok@sed.co.kr

강신섭 법무법인 세종 대표변호사는 한국 로펌의 최우선 과제로 '국제화'를 꼽았다. 경기침체로 경쟁이 심해진데다 오는 2017년 법률시장 3단계 개방을 앞두고 국내 법률시장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국내 주요 로펌의 경영 대표변호사로서 내린 진단이다. 강 대표는 다만 국제화에 앞서 "우리의 실상을 먼저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식 국제화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강 대표는 "스마트폰과 같은 제조업의 성공 방정식을 법률시장에 적용할 수 없다"면서 "한국 로펌이 국제화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국제 비즈니스의 준거법은 대부분 미국 뉴욕주법이거나 영국법"이라며 "통용 언어도 영어인 상황에서 해외 각국에 진출해 다국적 기업을 목표로 두고 영국·미국 로펌과 직접 수주전을 벌여 이기겠다는 전략은 한국 로펌들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 대안으로 해외 현지의 실력 있는 로펌과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글로벌 협력체제는 세종의 해외공략 전략이기도 하다. 세종은 현재 세계적 로펌 동맹체인 '프렌즈(Friends)'에 소속돼 있다. 현재 프렌즈에 소속된 국내 로펌은 세종과 김앤장, 단 두 곳뿐이다. 강 대표는 "한국 로펌이 터키에 진출하는 기업을 돕기 위해 당장 터키법을 공부할 수는 없다"며 "터키 현지의 최고 로펌을 찾아 국내 기업의 진출을 도와주는 식으로 국제화를 진행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강 대표는 해외 로펌의 국내 시장 진입에도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법률시장 개방도 우리 경제 수준을 고려했을 때 당연히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며 "변화는 언제나 존재하고 대응을 미루면 시장을 지킬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해외 로펌의 국내 진입 이후 펼쳐질 인력 스카우트 전쟁과 잦은 인력 이동 및 유출 등에 국내 로펌들이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강 대표는 "해외 로펌이 국내에 밀려오면 당장 변호사들은 높은 보수에 유혹을 느낄 수 있다"며 "세종도 앞으로 뛰어난 변호사에게 명예와 보상을 주는 방안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사진=송은석기자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