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태고의 모습' 개마고원 리포트

남북 공동제작 '한반도의 지붕…' MBC 15일밤 방영


‘한반도의 지붕’으로 일컬어지는 개마고원. 평균 고도 1,340m에 면적이 1만 4,300㎢으로 남한 전체 면적의 6분의 1에 달한다. 아직까지도 태고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이 곳은 남한에선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식물들과 이미 멸종돼 버린 걸로 알려져 있던 야생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천혜의 자연 신비를 간직하고 있는 개마고원의 모습이 TV를 통해 처음으로 안방에 공개된다. 국내 방송사상 최초로 남북이 공동으로 제작한 다큐멘터리가 방영되는 것. MBC는 15일(화) 오후 11시 10분부터 특집 자연 다큐멘터리 ‘한반도의 지붕, 개마고원을 가다’(연출 최삼규)를 1시간 분량으로 방영한다. 이번 다큐멘터리는 북한의 조선기록과학영화촬영소 자연 다큐멘터리팀이 직접 촬영한 것을 남한에서 편집하는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지난 2003년 10월부터 1년 2개월간에 걸쳐 개마고원을 탐사하며 직접 찍었다. 개마고원을 방송 카메라에 담는 것은 북한에서도 처음으로 시도됐다. ‘한반도의 지붕…’에선 개마고원의 사계와 함께 남한에선 찾아볼 수 없는 야생동물들의 진귀한 모습들을 볼 수 있다.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탓에 야생동물들에겐 세상에 더 없는 안식처가 된 것. 우리 나라에선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 불곰이 천진난만하게 장난을 치며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낮에 주로 활동한다는 스라소니와 늑대 가족의 일상, 꿩의 알을 훔쳐 먹는 여우의 모습도 관찰한다. 빙하시대부터 내려온 고대 동물로 해발 1,000m 이상 바위지대에서만 산다는 우는 토끼의 생태 활동도 찾아 본다. 프로그램에선 또 북한에서 보호구역으로 지정해 훼손되지 않은 개마고원의 원시림도 담아낸다. 북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2,000년 이상 된 금야은행나무와 여기에 얽힌 재미난 전설을 들려준다. 1,000년 이상 수령이 된 수목으로 가득한 원시림의 풍경과 함께 돌무더기들로 강을 이루며 그 틈으로 물이 흐르는 돌강의 모습도 살펴볼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