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0대 저소득 사회 초년생…한 달에 저축 얼마나 해야 되나?

사회에 첫발을 내딘 신입사원이 최소한의 문화생활을 누리는 동시에, 결혼 자금과 주택 종잣돈을 마련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2013년 정부가 발표한 2인 가구 최저생계비는 97만원, 4인 가구는 154만원이다.


이는 평생 독신이 아니라면, 최소한 100만원은 있어야 재무적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는 얘기다.

더구나 자녀까지 생긴다면, 자녀 1명당 독립시까지 3억원이 소요되기 때문에 연간 1,000만원의 양육비용이 추가로 들어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저소득 사회초년생이 현실적으로 종잣돈을 모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솔루션 A: 월급 100만원…비재무적 투자에 집중

저소득자의 최대 승부수는 바로 몸값을 최대로 끌어 올리는 것이다. 이 때는 재테크보다는 자기계발에 집중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

이처럼 월 소득이 낮아서, 저축할 돈이 부족하다면 자기만의 분야를 강구하면 이직 승진 등 몸값상승을 시도하는 것이 좋다.

자기계발을 위한 투자를 통해 전직 및 승진의 기회를 잡는다면 월 소득을 높일 수 있어 멀리 본다면 충분히 가치있는 투자처가 될 것이다.


다만, 소득이 적은 상태라도 실손 보험과 같은 최소한의 보험은 가입해 두어야 한다.

관련기사



▷ 솔루션 B: 월급 150만원…급여의 30% 수준을 분산 적립 투자

월급이 이 정도 수준이 된다면, 일정 부분 저축을 통해 종잣돈을 모을 수 있다.

비율로 본다면 월급의 30%, 즉 50만원을 적립식으로 모으는 것이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주택청약통장과 정기적금, 변액보험, 종신보험, CMA에 각각 10만원씩 불입하면 연간 600만원 정도를 모을 수 있다.

향후 5년만 모아도 결혼자금이나 주택 전세보증금으로 유용하게 쓸 수 있기 때문에 시도해 볼만하다.

▷ 솔루션 C: 월급 200만원…급여의 절반 수준으로 저축 끌어올리기

월 200만원 수준의 급여라면, 자기계발과 종잣돈 마련을 동시에 시도하는 재테크 전략수립이 이상적이다.

이 때 구체적인 포트폴리오는 급여의 절반 수준을 적립식 펀드를 통해 주식형, 혼합형, 채권형에 각각 2:2:1로 가입하는 것이 좋다.

안정자산과 위험자산의 비율을 적정하게 맞춰 포트폴리오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복리효과로 인해 장차 모이는 종잣돈의 크기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며, 향후 5년ㆍ10년을 내다보고 투자한다면 미래 자금 마련에 큰 도움을 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