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이번엔 '격파사격·핵 강화' 엄포

[李대통령 천안함 담화] 구체적 도발행위 시사속 남북 군사적 충돌 우려도

SetSectionName(); 北 이번엔 '격파사격·핵 강화' 엄포 [李대통령 천안함 담화] 구체적 도발행위 시사속 남북 군사적 충돌 우려도 권대경기자 kwon@sed.co.kr

북한 당국은 24일 정부의 천안함 후속조치 발표에 '격파사격, 핵 억제력 강화'를 요지로 대남 위협을 이어갔다. 특히 북한 당국은 이날 국방위ㆍ군부ㆍ외무성ㆍ노동당 등 북한 권력기관을 총동원해 정부의 천안함 후속조치를 맹비난했다. 국방위 대변인은 이날 조선중앙통신 기자와의 문답에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 이명박 대통령을 '역도'로 지칭하며 "대국민 담화는 상전과 주구가 머리를 맞대고 꾸민 '날조극'이 드러날까 봐 쓰고 있는 권모술수"라고 주장했다. 특히 북한 인민군 전선중부지구사령관은 정부의 조치 발표 직후 '남조선 역적패당에게 보내는 공개경고장'을 통해 "심리전 수단을 새로 설치하면 직접조준 격파사격이 개시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북한 군의 이 같은 언급은 우리 군의 대북 심리전 재개 방침에 대한 대응 성격으로 보다 구체적 수준의 도발행위를 시사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이 대통령이 이날 담화에서 '무력침범시 자위권 발동'을 천명했다는 점에서 최악의 경우 남북 간 군사적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북한군은 경고장에서 "만약 우리의 정정당당한 대응에 도전해 나선다면 도발의 근원을 없애버리기 위한 보다 강한 물리적 타격이 뒤따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군은 대남 심리전 재개를 직접 겨냥, "이는 북남 군사적 합의에 대한 노골적 파기행위이고 우리에 대한 엄중한 군사적 도발이며 북남관계를 최악의 상태로 몰아가는 중대사건"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또 핵 보유 정당성을 강조하며 대남ㆍ대미 압박전도 전개했다. 북한 외무성은 이날 미국에서 열린 핵무기비확산조약(NPT) 평가회의와 관련, "국가의 최고 이익을 지키는 데 필요한 만큼 핵 억제력을 계속 확대ㆍ강화해나갈 당당한 권리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외무성은 이어 NPT 탈퇴의 정당성을 역설한 뒤 "우리가 핵무기를 보유한 데 대해 시비하는 견해들이 회의에서 일부 표명되고 있지만 우리는 조약 밖에 있는 나라로서 핵무기를 가지지 않겠다는 어떤 의무에도 구속돼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도 이날 개인필명의 논평을 통해 정부의 후속조치에 대해 "북침전쟁의 불집을 터트리려는 또 하나의 엄중한 군사적 도발행위"라며 "우리(북)는 실제적 행동으로 강력히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