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다케시마 표기 애플에 항의 서한 보내고

■ 일 역사왜곡 바로잡기 운동 활발<br>반크·가수 김장훈씨 국제 청원 사이트 통해 독도 홍보활동도 강화

김장훈

"애플이 지도에 표기한 '다케시마'를 없애겠습니다."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와 가수 김장훈(사진 왼쪽)이 독도를 다케시마로 표기한 애플을 상대로 항의 서한을 발송하고 국제 청원 사이트를 통해 홍보활동을 강화하는 등 다케시마 표기 삭제를 추진하고 나섰다.


박기태(오른쪽) 반크 단장은 "온라인에서 독도를 '다케시마' 혹은 '리앙쿠르 록스'로 표기한 애플을 비롯해 구글ㆍ페이스북ㆍ마이크로소프트 등 이른바 '디지털 제국'을 대상으로 독도의 다른 이름의 삭제를 추진할 것"이라고 30일 밝혔다.

반크는 홍보대사인 김장훈이 운영하는 '독도의 진실' 사이트(www.truthofdokdo.com)를 전세계에 홍보하고 애플의 아이튠스를 통해 세계의 초중고교 교사들에게 디지털 제국의 심각성을 알릴 계획이다. 또 각국 주요 언론사 기자들에게 일본의 과거사와 독도를 바로 알리는 e메일을 발송하고 세계 주요 청원 사이트도 방문해 대대적으로 알릴 방침이다.

박 단장은 "앞으로 독도 표기를 쟁취할 때까지 항의 편지를 지속적으로 보내는 등 여러 사업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반크가 다케시마 표기 삭제에 나선 것은 최근 애플의 모바일 운영체제 iOS7이 독도를 일본 시마네현 소속으로 표기했기 때문이다. 애플은 지난해 7월 iOS6 시험판 지도에도 독도를 다케시마와 리앙쿠르 록스로만 표기했다가 국내 사용자들의 반발이 일자 독도로 표기를 한 차례 바꿨다가 같은 해 10월 말 다시 독도와 다케시마를 병기하는 식으로 최종 변경했다. 그러나 애플은 다시 '오키노시마조, 시마네'로 표기를 바꿔놓았다. 사진 촬영 위치가 어디인지 표시하는 기능이 새롭게 iOS7에 추가되면서 변경된 것이다.

관련기사



현재 구글과 애플,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는 독도를 독도, 다케시마, 리앙쿠르 록스 등 3가지 이름으로 표시하고 있다.

박 단장은 "일본 정부는 페이스북ㆍ마이크로소프트ㆍ구글ㆍ애플 등에 표기된 온라인 지도에 독도를 다케시마로 홍보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만약 디지털 제국으로 변모한 인터넷 기업들이 일본 정부의 로비로 인해 독도를 다케시마로 표기한다면 수십 년 내 세계인들은 일본의 거짓 주장을 사실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