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교육감 대행 이대영 교과부 대변인 교육정책 바뀔지 주목

이대영 교과부 대변인 서울시교육감 권한대행으로 임명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의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는 이대영 교과부 대변인이 서울시교육감 권한대행으로 임명되면서 앞으로 서울시교육청의 정책 방향이 주목되고 있다. 교과부는 28일 서울시교육청 교육감 권한대행인 임승빈 부교육감을 교체하고 신임 부교육감으로 이대영(52) 교과부 대변인을 임명했다. 교과부는 신임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에 따라 시청과의 새로운 관계 설정과 보수ㆍ진보 교육계의 사이에서 원활한 현안 처리 등을 위해 권한대행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 전문직 부교육감을 임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교과부와 교육청에 따르면 서울시교육감 권한 대행으로 임명된 이대영(52) 교과부 대변인은 행정직 관료가 아닌 전문직 장학관이지만 이주호 장관의 신임이 두터운 것으로 교과부 내에서 정평이 나 있다. 강원도 원주 출신인 이 권한대행은 공주사대를 나와 1982년부터 고교 교사를 하다 2001년 서울시교육청 장학사가 돼 행정실무 경험을 쌓았다. 이 때문에 서울시교육청 내부와 일선 학교에서도 인맥이 넓은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2008년 5월 교과부 홍보담당관실로 옮긴 뒤 이주호 장관이 2009년 1월 대통령 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에서 교과부 제1차관으로 온 것을 계기로 홍보담당관으로서 호흡을 맞추기 시작했다. 이 장관이 지난해 8월30일 차관에서 장관으로 발탁되자 9월 인사에서 전문직으로 처음으로 교과부 대변인으로 임명됐다. 초고속 승진을 하게 된 이 대변인은 박원순 시장의 서울시와 서울시의회와의 관계 조율과 전교조 등 진보적 교육단체와의 관계정립 등 난제들을 안고 있다. 특히 곽노현 교육감이 발탁한 정무직 보좌진과 핵심 부서장들에 대해 어떤 인사방침을 세울지 주목된다. 정책적으로는 학생들의 교내 집회를 허용하고 성적(性的)지향을 이유로 학생을 차별하지 말라는 조항을 담은 ‘학생인권조례안’을 어떤 방향으로 검토해 서울시의회에 넘길 지가 당장의 현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