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카다피 이후 리비아] '차기 권력' 반군과 교섭 확대… 재건사업 선점·교민 치안 힘써

■ 정부, 발빠른 움직임<br>현지 진출업체 발주협의 위해 리비아 여행금지 해제 추진도

리비아 반군의 승리가 굳어지면서 정부는 카다피 이후의 리비아 외교전략 수립에 본격 착수했다. 23일 외교통상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포스트 카다피' 시대 리비아에서의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리비아 반군을 상대로 한 외교 교섭에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교섭의 초점은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업과 교민을 위한 치안 확보 및 자산 보전에 맞춰져 있다. 정부는 특히 리비아 사태로 중단된 사업 프로젝트 계약 유지와 향후 재건 사업에 우리 기업이 진출하는 문제에 각별한 관심을 쏟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우선 과도국가위원회(NTC)를 주축으로 하는 반군 세력에 대한 정치적 지지를 본격화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6월25일부터 28일까지 외교부 본부와 공관 합동실무대표단을 NTC의 근거지인 벵가지에 파견해 반군 대표들과 접촉한 데 이어 7월15일에는 LCG(리비아 콘택트그룹)에 참여하는 등 반군 세력을 상대로 물밑 작업을 진행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주부터는 리비아 반군 대표기구인 NTC에 대한 직접 지원을 추진 중이다. 지원 규모는 미화 100만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이와 함께 오는 9월께 미국 뉴욕에서 유엔 총회를 계기로 열릴 예정인 제5차 LCG 회의에도 참석해 NTC에 대한 추가 지원을 논의할 방침이다. LCG에는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ㆍ유럽연합(EU)ㆍ아랍연맹 일부 회원국 등 32개국과 7개 국제기구가 참여하고 있으며 NTC를 리비아 내 합법적 통치기구로 인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7월 제4차 회의부터 LCG에 참여했다. 국토해양부는 이날 오전 과천 청사에서 리비아 진출 건설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박민우 건설정책관 주재로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현지 진출 업체들은 공사현장의 피해상황을 점검하고 공사 재개를 준비할 수 있도록 리비아를 여행금지국가에서 해제해줄 것을 요청했다. 업계는 "리비아의 전후 복구시장이 약 1,2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과도정부를 비롯한 발주처와 실무협의를 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조치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토부도 "그동안 리비아에서 발주된 공사의 3분의1을 국내 업체들이 수주해온 만큼 재건 프로젝트 선점을 위해서는 발 빠른 사전준비가 필요하다"며 외교통상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이른 시일 내에 행정절차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리비아 진출 건설사들은 이와 함께 오랜 내전으로 피해를 입은 리비아 국민들에 대해 정부와 별도로 인도적 차원의 구호물자를 지원하기로 했다. 업계는 해외건설협회를 통해 구체적인 금액과 물품, 전달방법 등을 논의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밖에 건설사의 피해상황이 파악되는 대로 반군 대표기구인 NTC와 보상 청구, 공사재개 관련 협의를 벌이는 한편 철도ㆍ주택 등 전후 재건사업의 국내 건설사 신규 수주를 위해 긴밀히 접촉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