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중복·금기 약물 처방 실시간 조회 서비스

의약품 처방ㆍ조제 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중복 처방 여부 등을 점검할 수 있는 '의약품 처방ㆍ조제 지원(DUR : Drug Utilization Review) 시스템'이 다음달 1일부터 전국에서 실시된다. 병의원이나 약국을 찾는 환자 개인의 금기 및 중복 약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돼 약화사고 등의 예방효과가 기대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DUR 전국 확대 실시를 앞두고 급여 의약품 1만4,921품목과 비급여 의약품 2만3,797품목 등 허가 의약품 3만8,718품목의 주성분 코드 생성을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함께 투약해서는 안되는 의약품 437개 조합과 청소년 등 특정연령대에 사용해서는 안되는 의약품 105개 조합, 임산부에 사용이 금지된 의약품 314개 품목, 안전성 문제로 급여가 중지된 의약품 302개 품목 등에 대해서도 분류가 마무리됐다. 심평원은 그간 경기 고양시와 제주도에서 실시한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개발한 DUR 전산프로그램을 이달말께 전국 요양기관에 배포한 다음 12월1일부터 전국에서 DUR 시스템을 가동할 예정이다. 일부 전산환경이 어려운 요양기관에 대해서는 4∼13개월간의 유예기간이 주어진다. DUR은 의약품의 안전하고 적정한 사용을 유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의사나 약사가 처방ㆍ조제 내역을 컴퓨터에 입력하면 심평원 중앙 서버에 누적된 환자의 조제 기록을 통해 금기 및 중복약물이 실시간으로 점검된다. 이에 따라 의사는 처방을 수정할 수 있고 약사는 처방한 의사에게 처방 변경 여부 등을 문의한 뒤 환자에게 점검 내역 등을 설명하게 된다. 전국 요양기관의 병용금기, 또는 연령금기 처방건수는 2006년 1만1,267건에서 2008년 2만6087건, 올해 상반기 3만5,485건 등으로 연평균 2만2,000건씩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은 개인정보 누출 방지를 위해 처방전을 발행한 담당의사가 전자서명을 해야만 병용금기 등 의약품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등 DUR 시스템의 보안관리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심평원 관계자는 "DUR이 계획대로 정착되면 의사와 약사가 안전성문제가 있는 의약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게 돼 궁극적으로 의료의 질이 높아지고 불필요한 의약품 사용도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