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경제 보는 해외시각 갈수록 악화

성장률 컨센서스 또 낮아져…내년 4.9%

한국경제를 바라보는 해외의 시각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올 성장률 전망에 대한 세계적 투자기관들의 전망치 평균이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에도 또다시 악화되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4%대로 낮아진데다 다른 경제권에 비해 디플레이션에 대한 가능성은 커지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세계적 투자기관들의 경제 전망치 평균을 취합해 매달발표하는 '컨센서스 이코노믹스'의 7월 추계결과 한국경제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5.4%, 내년 전망치는 4.9%를 기록했다. 컨센서스 이코노믹스의 지난달 성장률 추정치 평균은 5.5%, 5월에는 5.6%로 시간이 지날수록 낮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달 5.2%였던 내년 성장률 전망 추계치는 7월에는 4.9%를 기록, 5% 이하로 주저앉은 것으로 나타나 올해와 내년의 성장률 전망차이가 더 크게 벌어지면서경제운용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수출을 통해 한국의 경제성장에 큰 영향을 주는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도 4.4%로 0.1%포인트 낮아졌으며 내년 성장률 전망은 3.7%로 집계됐다. 반면, 일본과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각각 4.2%, 8.7%로 일본은 전월대비0.1%포인트 높아졌고 중국은 같은 수준을 유지해 갈수록 낮아지는 한국의 성장률 전망과 대비됐다. 한편, 한국의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전망치 평균은 3.3%로 6월보다 0.1%포인트 낮아진 반면, 유럽과 일본은 제자리, 미국과 중국은 각각 0.2%포인트, 0.1%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증권은 이같은 전망치에 대해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의 금리정책이 다소 여유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한국의 물가전망이 유독 하향조정돼 디플레이션 리스크가 커짐을 반영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최근 경기악화의 최대 요인인 내수부진에 대해 정부의 해법이 잘못됐다는지적도 나오고 있다. 수출과 내수의 연결고리가 끊겼다는 일각의 지적과 달리, 실제 조사결과 대기업들의 설비투자는 활발한 반면, 신용카드 문제와 함께 과도한 주택시장 규제가 전체내수 지표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증권 신동석 연구위원은 "대기업들이 포괄된 상장 제조사 98개의 설비투자조사 결과 2003년 37% 증가에 이어 올해도 27.5% 증가가 예상된다"며 "수출은 분명투자를 늘렸으며 중소기업과 비(非)제조업이 문제인 만큼, 재정지출 확대 등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