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요로결석 초음파치료 성공률 96%

방사선 노출없고 의료진 전과정 관찰하며 시술 장점<br>강동성심병원 김하영 교수팀…총 시술 건수 5,000건 넘어




한림대의료원 강동성심병원 의료진이 체외충격파쇄석술로 요로결석을 치료하고 있다.

한림대의료원 강동성심병원 의료진이 체외충격파쇄석술로 요로결석을 치료하고 있다.

한림대의료원 강동성심병원 의료진이 체외충격파쇄석술로 요로결석을 치료하고 있다.

요로결석 초음파치료 성공률 96% 방사선 노출없고 의료진 전과정 관찰하며 시술 장점강동성심병원 김하영 교수팀…총 시술 건수 5,000건 넘어 박상영 의학전문기자 sane@sed.co.kr 한림대의료원 강동성심병원 의료진이 체외충격파쇄석술로 요로결석을 치료하고 있다. 방사선(X-ray) 투시 없이 초음파로 요로결석을 치료하는 방법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한림대의료원 강동성심병원 김하영(비뇨기과ㆍ사진) 교수팀은 1992년부터 요로결석을 초음파 조준장치를 이용한 체외충격파쇄석술로 치료, 96%의 성공률을 보이고 있으며 2005년 말 현재 총 시술건수는 5,000례가 넘어섰다고 밝혔다. 요로결석을 잘게 부숴 소변으로 배출시키는 체외충격파쇄석술 치료를 할 때 결석을 조준하는 방법은 ▦방사선투시형 ▦초음파 조준형 등 두 가지가 있다. 방사선투시형은 결석에 대한 조준은 쉽지만 시술 중 환자와 시술하는 의사에게 방사선 노출위험이 따르고 의사가 실시간으로 치료과정을 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 크기가 작은 결석이나 방사선이 투과되는 결석은 조준이 불가능하며 뼈와 겹치는 중부 요관결석은 조준이 어렵다. 이에 비해 초음파형은 환자나 의사에게 방사선 노출이 없고 의료진이 전과정을 관찰하면서 시술할 수 있다. 방사선 투과성 결석도 조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크기가 작은 것도 영상을 확대해 쉽게 찾아낼 수 있다. 다만 시술자가 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훈련이 필요하다는 점 때문에 국내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조준이 쉬운 방사선 투시형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강동성심병원에서는 1992년부터 초음파 조준장치를 이용한 체외충격파쇄석술을 도입, 지금까지 총5,000건을 시술해 약96%의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 김하영 교수는 “요로결석 환자의 통증은 분만할 때 산통에 견줄 만큼 극심하다”면서 “초음파 조준형 체외충격파쇄석술은 어느 위치, 어느 각도에서나 결석을 조준해 충격파를 발생할 수 있어 모든 환자에게 치료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단 요로결석으로 진단되면 외래에서 곧바로 초음파 조준 체외충격파쇄석술를 시행할 수 있다. 요로결석은 소변과 관련된 신체기관에서 생긴 돌(결석) 때문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배뇨장애와 요로감염의 원인이 되며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사회활동이 왕성한 20~40대 남자에게 100명 중 3~4명꼴로 나타난다. 소변의 칼슘, 수산, 인산, 요산 등이 결정을 형성해 생성되며 요로 어느 부위에서나 생길 수 있다. 발생부위에 따라 ▦신장결석 ▦요관결석 ▦방광결석 ▦요도결석으로 분류한다. 증상은 주기적으로 갑자기 심한 옆구리 통증이 발생하고 아랫배 쪽으로 통증이 퍼지면서 매스꺼움과 구토 증세를 동반하기 때문에 장염이나 급성 맹장염으로 오해하기 쉽다. 신장결석의 경우 가벼운 옆구리 통증만 나타날 수 있고, 방광결석이나 요도결석은 배뇨장애나 혈뇨가 있을 수 있다. 옆구리가 아프다거나 소변에 이상이 생기면 지체 없이 비뇨기과를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요로결석은 방사선촬영과 오줌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치료와 예방법 -물많이 먹고 육류섭취 줄여야 결석의 크기가 4㎜ 이하면 소변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가능성이 높아 물을 하루 3리터 이상 마시고 진통제로 통증을 완화시키면서 결석이 배출될 때까지 기다리는 대기요법을 시도해 볼 수 있다. 하지만 크기가 4㎜ 이상이거나 요관이 심하게 막혀 통증이 심한 경우, 크기가 작더라도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요로감염으로 고열이 있을 때는 요관절석술, 경피적요관절석술, 요관경을 이용한 배석술, 체외충격파쇄석술 등이 필요하다. 현재는 비수술적 방법의 정위치 체외충격파쇄석술을 주로 이용한다. 결석이 한번 생긴 사람은 치료 후 5년 내에 재발율이 50%를 넘는다. 때문에 예방적인 생활습관이 중요하다. 평소 하루에 2리터 이상의 충분한 물을 섭취하고 되도록 싱겁게 먹고 육류 섭취를 줄이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우유 멸치 치즈 뼈국물 굴 버섯 아이스크림 등 칼슘 함유 음식을 줄이고, 시금치 초콜릿 땅콩 커피 홍차 등 수소와 산소 함유 음식 섭취를 줄인다. 과음을 삼가고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도 필요하다. 결석이 자주 발생하는 사람은 결석 성분을 분석하고 소변 내 결석 형성 촉진 또는 억제물질에 대한 분석 및 대사장애에 대한 검사를 받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입력시간 : 2006/01/16 20:5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