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올 상반기 해상화물 물동량 사상 최대

올 상반기 해상화물 물동량이 지난 해 같은 기간 대비 7.1% 증가, 6억톤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무역협회가 17일 발표한 ‘2011년 상반기 수출입 운송 물동량 및 운임 동향 조사’에 따르면 상반기 해상화물 물동량은 지난 해 같은 기간 대비 7.1% 증가한 6억3,700만톤에 달했다. 보고서는 해상화물 물동량이 사상 최대를 기록한 원인으로 상반기에 선진국과 신흥국으로의 수출이 동시에 늘어난 가운데 주로 해상 운송에 의존하는 석유ㆍ섬유 제품의 수출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상반기 아시아 주요항로의 해상운임은 전년 동기 대비 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기준 중국(35.3%), 일본(21.7%), 싱가폴(16.1%) 등 대부분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북미와 유럽의 경우 수출 증가에 따른 물동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초대형선 투입 및 선복 증가로 LA(-10.2%) 뉴욕(-8.5%), 앤트워프(-34.0%)를 비롯한 주요항로의 해상운임 하락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하반기 해상화물은 계절적 성수기에 진입한 가운데 수출과 수입이 각각 15.8%, 22.1% 증가함으로써 전년 동기대비 13% 늘어난 6억8,700만톤이 처리될 것으로 예상됐다. 아울러 한-EU FTA 발효 수혜 지역인 유럽을 제외한 대부분 항로의 운임은 하락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해상화물과 달리 항공화물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한 127만3,000톤을 기록하며 해상화물 물동량 추이와 대조를 보였다. 2011년 4월까지 약보합세를 유지하던 항공화물 운임은 2011년 5월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상반기 항공운임 지수는 IT관련 제품군의 물동량 감소와 소형화 추세로 전년 동기대비 15.8% 감소했다. 이병무 한국무역협회 화주사무국장은 “올 상반기 해상 물동량과 항공 물동량이 상반된 경향을 보였다”며 “이에 따른 운송수단별ㆍ항로별 운임 동향에도 변화가 지속되는 만큼 무역업체들이 관련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