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1월 13일] "잃었던 IT왕국의 부활"

"눈앞이 깜깜합니다." "앞날이 불투명하니 불안합니다." 지난해 11월 통신업계에 출입하게 되면서 만난 업체 관계자들의 한결같은 푸념이다. 그중 일부는 "1년이 아니고 수년째 이런 상태가 계속되니 답답할 따름"이라고 하소연했다. 주요 통신업체 최고경영자(CEO)들도 하나같이 '시장 정체와 포화'를 이야기한다. 또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지 못하면 공멸'이라는 말이 어김없이 뒤따른다. 대규모 감원과 경비 절감 등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은 이미 진행 중이다. 그럼 다른 산업계가 부러워할 만큼 고속성장을 구가하던 국내 통신업계가 몇 년 사이 생존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쪼그라든 이유는 뭘까. 기자는 업계와 정부의 공동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통신업체는 모두가 미래를 걱정하면서도 경쟁사를 비판하기에 바쁘다. '로비를 통해 시장장악력을 유지한다' '이번 합병에 문제가 많다' 등 상대 회사를 칭찬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냉소와 견제의 목소리만 높고 시장의 파이(규모)를 키워보자는 공동의 노력은 보이지 않는다. 정책 문제도 빼놓을 수 없다. 방송과 통신정책을 아우르는 방송통신위원회 출범 이후 통신보다는 방송 분야에 정책의 무게가 실려 있다는 느낌이다. 종합편성채널(종편) 선정과 민영 미디어렙 등 방송 이슈가 통신 이슈를 압도하고 있는데다 그마나 시행되는 통신 관련 정책도 산업을 육성하는 진흥보다는 요금 등 규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보기술(IT) 선진국이라는 미몽에 사로잡혀 한발 앞선 투자를 게을리한 이전 정부도 문제가 많았지만 종편 선정 등이 정책의 전부인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현 방통위도 비판받을 만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6일 통합LG텔레콤 대표로 통신업계에 복귀한 이상철 전 정보통신부 장관은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잃었던 IT 왕국의 부활을 바란다'는 소감을 피력했다. 잃어버린 왕관을 되찾는 데는 이 대표의 노력만으로는 버거울 것이다. 통신업계와 정책 당국이 함께 지혜를 모아야 위기 극복이 가능하다. 상호 견제와 냉소, 규제의 대가를 지금 혹독히 치르고 있지 않은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