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우쇼크] 협력사 연쇄도산 위기땐 경제 치명타

특히 대우전자의 경우 핵심부품을 납품하던 일부 대기업까지 부품공급을 중단, 조만간 제품생산이 전면 중단될 위기에 몰려 있다.이에 따라 전자·조선·자동차 등 대우 주력 생산업체의 영업기반 붕괴가 장기화할 경우 대우는 물론 협력업체들의 연쇄도산이 불가피한 상황이어서 정부차원의 특단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우의 생산중단이 본격화할 경우 대우 및 협력업체들의 연쇄도산으로 우리나라의 컨트리리스크(COUNTRY RISK:국가 위험도)가 높아져 겨우 회복기미를 보이고 있는 국가 신용등급마저 재차 하향조정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재계는 『대우사태가 장기화돼 생산에 차질이 발생하면 산업·금융·외환 등 전 분야에 걸쳐 메가톤급 폭풍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우는 물론 협력업체들의 자금난을 완화해줄 수 있는 정부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협력업체 왜 납품 기피하나=대우 협력사들은 현재 대우로부터 물품을 납품하고 2~3개월짜리 진성어음을 받고 있다. 이들 협력사는 대우로부터 받은 어음을 주채권은행에 제시하고 어음을 할인해 운영자금을 조달, 2차 협력업체들에 납품대금을 결제해줬으나 대우사태가 불거진 이후 은행이 할인을 기피, 심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 따라서 협력업체들은 대우에 어음 대신 현금결제를 요구하고 있으나 대우도 자금사정이 여의치 않아 협력사들의 요구를 들어주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청 협력사들은 납품액이 늘어날수록 자금난이 심해질 수밖에 없어 아예 납품을 중단하고 있는 것이다. ◇산업계에 미칠 부작용=대우사태가 악화되면서 납품중단으로 당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곳은 전자·자동차 등 주력 수출업체들이다. 또 대우중공업 조선 부문도 당장은 기존 수주물량으로 메우고 있으나 추가 수주를 거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대우 주력업체의 1차 협력업체들은 대우전자가 모두 824개 8만7,000명, 중공업 1,122개, 6만3,500여명, 자동차 836개, 30만5,000명 등 2,782개, 45만5,500여명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 2차 협력업체까지 포함하면 대우 및 협력업체 종사자들은 13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대우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이들 중 절반 가량이 실업자로 전락할 것으로 우려된다. 현재 정부의 공식 실업자수가 170만명인 점을 감안할 때 대우사태로 인해 한꺼번에 실업자가 30% 이상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더욱 큰 문제는 대우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이들 협력업체들이 연쇄도산 위기에 처할 경우 대우뿐 아니라 주력 수출산업 전체가 흔들린다는 데 있다. 대우 협력사 중 상당수가 대우뿐 아니라 다른 대기업에도 납품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의 어려움은 곧바로 해당 산업의 기반 붕괴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국내 산업의 특성상 대우 협력사들의 상당수는 동시에 삼성·현대·SK 등 여타 그룹이나 국내 주요기업들의 협력사』라며 『이들의 생존 기반이 흔들리는 것은 대우와 대우 주변만의 위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타 그룹이나 기업의 위기로 확산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금융 및 외환시장 연쇄파장 유발=대우사태의 확산으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금융 및 외환시장의 연쇄파장이다. 금융 전문가들은 『최근 대우와 국내 채권단이 재무개선 특별약정을 맺은 데 이어 해외 채권단과의 해외 채무 리스케줄링을 위한 교섭창구를 마련하면서 금융 및 외환시장이 진정될 기미를 보였으나 생산·영업·수출 등 실물기반이 붕괴된다면 또다시 대혼란에 휩싸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시중 유동성 부족으로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기 힘들어지는 것은 물론 「금리 양극화 현상」으로 확대되면 한계기업의 무더기 도산사태도 배제하기 힘들다. 게다가 대우사태 초기 한국의 경제회생에 대해 신뢰를 보냈던 세계 유수의 신용평가기관 및 금융기관들이 대우의 유동성 위기가 실물기반 붕괴위기로 이어져도 지속적인 신뢰를 보낼 것인지 의문이다. ◇무역수지 흑자관리도 비상=최근 정부는 연초 250억달러로 설정했던 무역수지 흑자 목표를 240억달러선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같은 조정은 수입증가가 예상보다 빠르게 이뤄지는 점을 감안한 것이지 대우사태의 확산을 예견한 것은 아니었다. 대우사태가 확산되면 수출 자체가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어 무역수지 흑자 목표를 추가 하향조정할 수밖에 없다. 국내 수출에서 대우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략 15%선. 대우사태 이후 대우 주력사들을 찾는 바이어들이 부쩍 줄어든 것은 물론이고 장기 거래선들 마저 선뜻 계약에 응하려 들지 않고 있다. 문제는 이들이 새로운 구매선을 국내 기업이 아닌 제3국에서 찾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엔화가치 강세 등 국내 수출여건이 개선되고 있지만 대우사태가 확산되면 상당수의 바이어가 한국이 아닌 제3국으로 이탈할 것』이라며 『사태 확산의 핵심인 대우 협력업체의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무역금융 지원 및 어음할인 유도 등 정부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형기기자KKIM@SED.CO.KR

관련기사



김형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