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처음으로 주재하는 28일(현지시간)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FRB의 향후 통화정책과 금리인상 속도에 세계 금융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FRB가 0.2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단행해 현행 4.5%인 정책금리를 4.75%로 끌어올릴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월가(街)의 관심은 금리인상 여부보다 FRB가 현행 금리수준을 어떻게 진단하고 앞으로 언제까지 금리인상을 이어갈 것인지에 쏠리고 있다. ◇기준금리 5.0%가 대세=FRB 통화정책의 초점은 ‘인플레이션 차단’에 맞춰질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이는 버냉키 의장이 지난 2월15일 취임한 후 첫 번째 가진 의회 증언에서 “생산이 지속 가능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통화정책 대응이 없을 경우 결국 추가적인 물가상승 압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제 블룸버그통신이 지난 21~24일 FRB와 미 국채를 거래하는 22개 프라이머리 딜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8%가 7월까지 기준금리가 5.0%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3월 이후에도 한 차례 더 금리인상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해 4ㆍ4분기 1.6%까지 떨어졌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올해 1ㆍ4분기에는 5%대 초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고용과 산업가동률ㆍ소비 등 거시지표들의 상방 압력이 다소 높아지는 등 미국 경제의 성장탄력이 여전히 강하다는 인식이 짙게 깔려 있다. 결국 금융시장은 FRB가 물가압력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한두 차례의 금리인상을 단행하더라도 미국 경제가 이를 소화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둔화 우려도 높아져=금융시장은 FRB가 5.0%를 넘어서는 과도한 금리인상 행진을 이어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4.6%대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책금리와 국채 수익률간 격차가 역전될 경우 주택경기 둔화와 소비위축, 성장률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FRB가 정책금리를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보다 높게 인상한 것은 71년 이후 6번 있었으며 이중 5번이 경기침체로 이어졌다. 당장 주택시장이 불안하다. 지난달 신규 주택판매는 10.5% 감소해 9년래 최저를 나타냈고 주택재고도 8년래 최고를 기록하는 등 부동산시장이 금리인상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집값 상승 등 낮은 금리에 따른 자산효과가 미국 경제의 65%를 차지하는 소비를 지탱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과다한 통화긴축은 미국 경제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결국 버냉키 의장이 ‘인플레이션 파이터’로서의 이미지를 강하게 부각시키고 있지만 하반기부터는 미국 경제의 성장둔화 신호가 터져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FRB의 금리인상 행진에도 브레이크가 걸릴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