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의 도시’라 불리던 미국 남부 도시 뉴올리언스가 ‘무법천지’로 변했다. 강력한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휩쓸고 간 후 물바다가 된 뉴올리언스에는 곳곳에 시신들이 떠다니고 살아남은 자들의 약탈과 노략질, 강간, 무차별 총격이 난무하고 있다.
이번 카트리나 대재앙은 희생자 유가족과 이재민뿐 아니라 조지 W 부시 대통령에게도 큰 상처를 남길 것으로 보인다. 미 정부는 카트리나의 본토 상륙에 앞서 대대적인 주민대피 작업에 나섰다지만 태풍에 따른 인명피해는 수천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만명에 이른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특히 사망자 중 상당수는 흑인 빈민층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허리케인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대피에 나서지 못했다. 실제로 외신 사진 및 TV 화면에 나타나는 이재민이나 약탈자 중 상당수는 흑인들이다.
부시 대통령을 더 곤혹스럽게 만드는 것은 이라크전쟁과 카트리나간의 함수관계다.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전을 치르느라 홍수 통제 관련 자금지원을 크게 줄였고 뉴올리언스의 경우 관련 기금이 44%나 깎였다. 또 피해가 집중된 미시시피와 루이지애나주의 주방위군 6,800명은 현재 이라크에 파견돼 있다. 당연히 이들 병력이 현지에 있었다면 좀더 효율적인 재해 대처가 가능했을 것이라는 원성이 나오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허리케인이 예전보다 강력해진 이유 중 하나가 지구온난화 때문이라는 점도 부시 입장에서는 난처하기 그지없다. 미국은 선진8개국(G8) 중 유일하게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교통의정서 비준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는 부시의 지도력이 9ㆍ11 테러 이후 최고의 시험대에 올랐다고 지적했다. 물론 이번 참사는 자연재해라는 점에서 모든 책임을 부시에게 돌리는 것은 불공평하다. 하지만 카트리나가 지나간 자리에 미국 사회의 빈부격차와 인종문제, 이라크전쟁에 따른 비효율적 자원 배분, 국가이기주의로 무시된 환경문제 등 감추고 싶은 치부가 드러난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