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유가 30%는 거품… 적정가 50弗"

■ 중동 5개 산유국 전문가 설문<br>수급 불균형에 투기세력까지 가세 거품 부풀려<br>전세계 원유 초과공급량 하루 100만배럴 수준<br>이란핵·허리케인 겹치면 배럴당 100弗 갈수도


이번 설문조사에서 고유가로 엄청난 오일달러를 벌어들이고 있는 중동 산유국들도 현재의 유가에 상당한 거품이 잠재해 있음을 인정했다. 이들이 제시한 적정 유가는 배럴당 50달러대로 유종에 따른 가격차를 감안하더라도 현재 유가는 30% 이상 과대평가된 셈이다. 하지만 이 같은 거품은 중동의 지속적인 정치적 긴장과 맞물려 쉽사리 사그라지지 않고 오히려 단기적으로 더 부풀어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게 산유국 관계자들의 진단이다. ◇적정 유가는 50달러이지만…=라시드 빈 칼리드 오만 석유가스부 장관보좌관은 “현재 세계경제 성장세를 감안할 때 적정 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으로 배럴당 45~50달러”라고 밝혔다. 국제문제 전문가인 그는 부내 서열 3~4위의 고위급으로 특히 유가분석에 높은 식견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누리 알 아니 이라크 석유부 국장과 압둘라 알 다헤리 아부다비국영석유사 이사는 적정 유가에 대해 “50달러대”라고 잘라 말했다. 이란 국영석유사의 임원급인 세예드 모하마드 타바타바이는 “현재의 고유가에도 불구하고 세계경제가 잘 나가고 있다”면서도 “유가 적정치는 50달러대”임을 인정했다. 다만 쿠웨이트 국영석유사의 유세프 알 카반디 이사만은 “현재 유가 수준은 별 문제가 없다”며 “두바이유 65달러 정도면 적정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5인의 석유전문가는 공급 면에서 산유국의 석유개발투자 저조와 메이저 석유회사 및 소비국이 정제시설을 늘리지 않았고 이에 비해 중국ㆍ인도 등 아시아 경제성장 등으로 인한 석유 수요급증이 구조적으로 맞물리면서 유가 거품을 형성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이라크ㆍ이란ㆍ나이지리아 등 주요 산유국의 정정불안이 차례로 이어지면서 거품은 더욱 커졌고 투기세력은 이를 더욱 부풀렸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카반디 이사는 “공급은 줄고 수요는 늘었다”며 “투기세력은 중동의 정치적 긴장을 놓치지 않았다”고 말했다. ◇유가 신기록 행진은 계속된다=유가 거품으로 석유 소비국의 고통은 날로 커지고 있지만 ‘기름값 바가지’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산유국 관계자들은 국제유가의 신기록 경신 행진이 반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라크의 알 아니 국장은 “전세계 원유 초과공급량이 하루 100만배럴 수준에 그치고 있는데 단기간에 늘릴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면서 “중동, 특히 이란 핵 사태 발발시 유가는 지금보다 훨씬 치솟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빈 칼리드 오만 석유가스부 장관보좌관은 “배럴당 두바이유는 75달러, WTI는 80달러 이상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알 다헤리 이사는 “이상 기후에 신경을 써야 한다”며 “중동 정세불안에 올 여름 허리케인까지 겹치면 상상하기 싫을 만큼 유가가 급등할 수 있다”고 말해 유가 배럴당 100달러 시대가 한 번쯤 도래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그러나 산유국들도 공급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알 다헤리 이사는 “고유가와 정세불안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석유를 공급한 노하우가 쌓여 있다”고 강조했고 빈 칼리드 장관보좌관은 “한국이 석유ㆍ가스 공급에 어려움을 겪도록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