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박탈성 각질용해증 , 증상 심할땐 '밀폐요법' 효과 커

취침전 스테로이드 연고 바른후 랩으로 싸주면 회복 속도 빨라<br>자극 강한 알칼리 비누 사용 자제… 손 씻은후 보습로션 자주 발라야

박탈성 각질용해증은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고 보습에 신경을 써야 악화를 막을 수 있다. 박탈성 각질용해증에 걸린 환자의 손이 많이 벗겨져 있다.


직장인 윤성남(가명ㆍ28)씨는 겨울철만 되면 손이 벗겨져 괴롭다. 업무를 보는데 지장은 없지만 증세가 심해질 경우 종이서류를 집기라도 하려면 쓰라려 괴롭기 그지없다. 나름대로 시중에서 파는 '핸드크림'을 발라도 봤지만 별 효과를 보지 못했다. 겨울만 되면 윤씨처럼 손바닥과 손가락이 허물을 벗듯이 벗겨지는 이들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습진과는 다른 이 같은 증세를 전문의학용어로 '박탈성 각질용해증(exfoliative keratolysis)'이라 한다. 이를 극복하기위한 치료 및 예방법을 알아본다. ◇원인불명, 건조한 겨울철 더 악화 박탈성 각질용해증은 말 그대로 피부의 각질이 벗겨지는 증상을 일컫는다. 주로 손과 발에서 나타나게 된다. 처음에는 하얀 링 모양이나 작은 공기 방울처럼 증세가 나타나 이것이 점점 커지면서 벗겨지는 부위가 넓어진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진 바 없다. 의학계에서 곰팡이나 박테리아 감염과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를 했지만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또한 특정 계절에 구애 받지 않고 나타난다. 온풍기 사용 등 건조한 환경이 조성되는 겨울철에는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다. 다만 사람마다 분기당 한 번, 년 1~2회 등으로 발생빈도가 다를 수 있다. 한번 발생하면 새로운 피부가 재생되는 2~3주 정도후면 증상이 개선되지만 관리를 잘 못해 건성습진으로 악화될 경우 벗겨짐이 심해지면 한 달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증세 심할 경우 밀폐요법 고려 공기방울 같은 초기증세가 나타났을 때 보습로션을 자주 발라주어 악화를 막아야 한다. 하지만 여의치 않아 부위가 넓어졌을 경우 피부과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증상 초기에는 스테로이드 성분의 연고를 발라 염증발생을 막고 피부재생을 도와준다. 간혹 ‘유레아’ 등 각질연화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각질을 빨리 벗겨내 재생속도를 높여준다. 하지만 증상이 악화됐을 경우에 각질연화제 사용하는 것은 좋지않다. 손가락 끝이 심하게 벗겨져 물건에 손도 대지 못할 때가 있다. 이 경우엔 취침전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른 후 손가락을 밴드나 랩으로 싸는 ‘밀폐요법’을 4~5일간 실시하면 스테로이드의 피부침투력을 극대화시켜 회복속도를 높여줄 수 있다. 단 장기간 실시하면 스테로이드 고농도로 인한 혈관확장, 피부위축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욕실에 비누를 없애라 각질용해증을 치료ㆍ예방하려면 평소 관리가 중요하다. 손호찬 아름다운 나라 피부과 원장은 “손을 씻은 후 반드시 보습로션을 바르고 실내를 너무 건조하지 않게 해야 한다”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강알카리성 비누는 자극성이 강하므로 중성비누나 세안제, 바디클렌저를 사용하는 게 좋다”고 당부했다. 사용 후 약간 미끌거리는 비누가 중성인 경우가 많다. 비누를 아예 없애버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주부의 경우 빨래나 설거지할 때 반드시 고무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