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주총시즌 반환점… 12월 결산법인 798곳 마쳐

차분함속 위기돌파 쇄신책 속속 선봬


12월 결산 상장법인들의 정기 주주총회가 반환점을 돌았다. ‘슈퍼 주총데이’인 20일 한진해운을 비롯한 516개 상장사들이 동시에 주총을 열어, 이날까지 12월 결산법인 1,670개사 가운데 유가증권 466개, 코스닥 332개 총 798개사가 주총을 마쳤다. 금융위기와 경기침체의 그늘 속에서 올해 주총은 대체적으로 무난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실적부진에 대한 우려와 함께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려는 기업들의 움직임들이 두드러졌다. ◇ 대부분 주총 차분하게 진행 이날 오전 9시부터 열린 한진해운 주총은 30분만에 끝났다. 회사측에서 내놓은 재무제표 승인, 정관 개정, 이사 및 감사위원 선임, 이사보수한도 승인 등 모든 안건이 동의 재청과 호응 박수 속에 속전속결로 마무리됐다. 한진해운 주총에 참석한 한 주주는 “어려운 여건아래서도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해 10년 동안 배당을 지속하고 있는 것을 고맙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도 안건을 두고 표 대결까지 간 경우는 많지 않았다. 한국전력이 상장 20년만에 처음으로 무배당을 선언하는 등 배당축소와 인사문제에 대해서 주주들의 불만이 나왔지만 논쟁으로까지 비화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일부 주총에서는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환인제약에서 2대주주인 외국계 사모펀드 ‘데칸밸류어드바이저리’가 추천한 사외이사와 감사추천 안건이 국내 기관과 개인 주주들의 반대로 부결됐다. 또 한화석화 주총에서는 회사측이 대우조선해양 인수이행 보증금 3,150억원 중 60%인 1,093억원을 부담한 게 논란이 됐다. 한화석화는 보증금을 돌려받기 위한 소송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기로 했다. ◇ 위기탈출 위한 책임경영 강화와 분위기전환 노력 보여 이날 주총에서는 책임 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상장사들의 노력도 구체화됐다. 또 금융위기와 경기침체를 극복하려는 기업들의 분위기 쇄신책도 속속 선보였다. 한화석유화학 주총에서는 김승연 한화 회장이 사내이사로 복귀, 책임경영 체제를 강화했다. 김 회장은 이미 지난해 ㈜한화를 비롯한 주요 계열사의 등기 대표이사를 복귀한 바 있다. GS그룹은 이날 주총에서 그룹지주사 사명을 GS홀딩스에서 ㈜GS로 변경했다. GS라는 그룹명이 일반인에게 보편화돼 있다는 판단에서다. CJ홈쇼핑도 영업다변화 차원에서 사명을 CJO쇼핑으로 고쳤다. LG이노텍과 LG마이크론도 이날 나란히 주총을 열고 합병 재추진 의사를 확인했다. 또 녹색성장 관련 LED사업 강화방침도 확인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