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삼성전자 'H.264' 국제표준 획득

특허료등 유무형 효과 10년간 1조 기대삼성전자가 성균관대와 공동으로 제안한 차세대 동화상 압축ㆍ복원 기술인 'H.264'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됐다. 삼성전자는 최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조인트비디오팀(JVT) 표준화 회의에서 이 기술이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았다고 24일 발표했다. 'H.264'는 주요 디지털 전자제품의 핵심인 '차세대 디지털 동화상 압축ㆍ복원 기술(ITU-T H.264/MPEG4 AVC)'로 특허료 등 유무형 효과가 10년간 1조원인 기존 MPEG2, MPEG-4를 능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이 기술은 현재 상용화된 디지털TV, DVD, 유무선화상통신, 주문형비디오서비스 분야 규격인 MPEG-2, H.263, MPEG-4보다 고효율의 저장 및 전송이 가능하도록 압축률을 최대 2배까지 높일 수 있다. 또 디지털TV 등 디지털미디어 분야의 차세대 동영상 압축 방식 뿐만 아니라 유무선 통신환경에서 차세대 멀티미디어 및 영상전화 서비스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H.264가 국제 표준으로 채택됨으로써 디지털TV, DVD플레이어, 셋톱박스, 디지털캠코더, 홈네트워크 등 관련 시장에서 디지털기술 리더십과 막대한 특허료 수입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임석훈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