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삼양식품 화의 졸업

7년만에 정상화 발판…24일부터 거래 재개

삼양식품이 7년 만에 화의를 졸업했다. 23일 삼양식품은 서울중앙지방법원이 화의채무 보고의무 절차 면제를 승인함에 따라 화의절차를 종료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삼양식품은 상장폐지 위기에서 벗어나는 것은 물론 경영정상화에도 본격 나설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게 됐다. 현재 매매거래가 정지된 주식도 24일부터 거래가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삼양식품은 지난 98년 9월 화의에 들어간 후 6년여간 자산매각과 영업이익을 통해 마련한 돈으로 3,351억원에 달했던 화의채무 중 98.5%인 3,302억원을 변제, 채권단과 협의를 통해 지난달 25일 법원에 화의종결 신청을 했다. 삼양식품은 63년 국내 최초로 ‘삼양라면’을 내놓으며 라면시장을 주도해왔으나 89년 발생한 우지 파동으로 큰 타격을 입고 추락하기 시작, 외환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98년 화의 상태에 들어갔었다. 하지만 현재 간판제품인 삼양라면의 월 판매량은 2003년 40만∼50만상자에서 지난해 70만∼80만상자로 증가했고 올해는 100만상자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재기의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올해 초에는 창업주인 전중윤 회장의 큰며느리인 김정수 부사장 등 대주주 일가가 채권단으로부터 지분의 32.8%인 205만주를 사들인 뒤 이중 136만여주를 ‘백기사’인 현대산업개발에 우호지분으로 매각, 경영권을 확고히 하기도 했다. 삼양식품의 한 관계자는 “화의 졸업으로 경영정상화와 재기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면서 “본격적인 공격경영에 나서 라면 종가의 명예를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