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강남 주요 아파트 거래가 혼조세 극심

같은 층도 최고 1억5,000만원 차이<br>불투명한 시장전망에 가격향방 가늠 못해<br>새정부 정책 확정때까지 당분간 지속될듯


지난해 12월에 거래된 같은 아파트의 같은 층 아파트 가격이 최고 1억원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기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부동산시장에서 새 정부 출범에 따른 기대감과 우려감이 교차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재건축ㆍ재개발에 대한 규제 완화 기대감도 있지만 환수장치 마련 등의 사업성 악화 가능성이 있어 매매자들이 향후 아파트 가격의 향방을 가늠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같은 아파트 가격 혼조 양상은 새 정부가 출범하고 부동산정책이 확정되기까지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30일 건설교통부가 발표한 ‘2007년 12월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동일한 아파트의 같은 층일 경우에도 가격이 최고 1억5,000만원 가까이 차이가 났다. 서울 송파구의 잠실 주공 5단지 9층(전용면적 77㎡)은 10억5,000만원에 거래된 경우가 있는가 하면 12억원에도 거래가 성사된 것으로 조사됐다. 강남구 대치동의 은마아파트(77㎡) 1층 역시 9억6,500만원과 10억1,000만원에 거래가 이뤄졌다. 서초구 반포동의 에이아이디 차관아파트(73㎡) 2층이 9억4,700만원과 9억7,500만원에 거래가 이뤄진 가운데 3층은 9억6,000만원과 10억원에 거래돼 4,000만원에 달하는 거래금액 차이가 발생했다. 특히 강남 은마 1층과 에이아이디 차관 2ㆍ3층, 잠실 주공 5단지 9층과 같이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아파트들의 실제 매매 체결일은 모두 지난해 12월인 것으로 나타나 시장참여자들이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매매 가격 차이와 관련, 매도자와 매수자 모두 향후 아파트 가격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아 이 같은 매매 가격의 괴리가 발생한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김은경 스피드뱅크 리서치팀장은 “이명박 정부의 부동산정책 방향은 윤곽이 그려지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시기와 대안 등은 확정되지 않은 만큼 아파트 가격의 변동폭이 크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영호 닥터아파트 리서치센터장은 “시장참여자들 간의 시장 전망이 서로 다른 점이 매매 가격 차이로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아파트 거래량은 4만441건으로 지난달 4만3,330건보다 소폭 하락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