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은채 연구원은 “5월 말 메르스 첫 발생 이후 확진자와 사망자수가 확대되면서 6월 실제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라며 “작년 세월호 사태가 심리적인 요인이 컸다면 이번 이슈는 물리적인 외부 활동 자제로 인한 소비 둔화로 이어져 내수 사업은 단기적으로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나 연구원은 “화장품 업종은 내수 위축과 해외 관광객 소비에 모두 노출돼 있다”며 “과도한 우려는 지양하나 메르스 사태가 장기화하면 영향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내수 의류업체의 경우 이달 들어 전년대비 매출 증가율이 4∼5월보다 5∼10%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추정됐다.
나 연구원은 “내수 의류업체는 단기적인 영향을 받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사태 진정시 국내 소비자를 기반으로 회복 속도는 오히려 빠를 것”이라며 “하반기 계절적 성수기 효과와 내수 부양책을 겨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 한섬과 LF의 주가 하락은 과매도 국면이라는 게 나 연구원의 설명이다.
반면 해외 사업이 높은 의류 업체는 국내에 국한된 메리스 이슈의 영향이 없거나 미미하고, 생활용품 업종은 렌털 사업 비중이 높아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