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유통과정 획기적 축소방안 찾아야

대기업-하청업체 마진전쟁<br>하청社 "도산우려" 납품중단사태 확산 가능성<br>대기업 "제품값 올라 내수 더 위축… 양보못해"<br>가공ㆍ조립등 2~3단계 거치며 납품가 2배로<br>하청업체 직접판매등 제도적 장치 모색 필요

대기업과 협력업체간 공생관계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내수부진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제품의 적정 이윤을 맞추기 어렵게 되자 갈등이 일어난 것이다. 양쪽 다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쉽사리 해결책을 찾을 수 없다는 데 더 큰 문제가 있다. 통상적으로 하청업체가 약한 입장에 있기 때문에 이들의 어려움이 더 큰 것이 사실이나 그렇다고 대기업들이 납품단가를 인상해주면 제품가격 상승에 따른 수요부진과 투자감소로 인해 더 큰 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 ◇하청업체, 납품중단 확산 우려= 지난 1일 자동차주물부품조합은 GM대우ㆍ쌍용ㆍ르노삼성차에 주물부품 3일간 납품중단을 선언했다. 핵심 쟁점사항은 가격. 당시 24개 주물부품업체는 사상 처음으로 집단행동에 나설 것을 결의하고 원자재 가격 인상분만큼 가격인상을 미뤘던 완성차 3개사에 대한 실력행사에 나선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문제가 주물부품업체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철강 제조과정에 필수적인 생석회를 생산하는 B석회는 지난 5월 말 현재 부채비율이 500%까지 치솟아 도산위기에 직면했다. 98년 톤당 7만4,000원이던 생석회 납품단가가 원청업체의 요구로 여섯차례나 떨어져 올해는 5만7,000원까지 추락했기 때문이다. B석회의 한 고위관계자는 “동종 부품업체들의 이익보호 차원에서 최근 조합을 결성하기 위해 10여개 생석회 생산업체들이 모여 논의한 바 있다”며 “조합이 결성되는 대로 생존을 위한 납품가격 현실화를 위해 대응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른 업종의 부품업체들도 앞으로 얼마든지 집단행동에 나설 가능성이 열려 있다. ◇구조적인 개선책 마련 시급= ‘원청-하청업체’와의 마진전쟁은 한 쪽이 양보를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심각하다. 원청업체가 양보할 경우 제품가격 인상으로 소비자들의 가격부담이 커지고 반대의 경우 하청업체들은 심하면 도산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대기업 및 하청업체 관계자들은 “제품 유통과정의 구조적인 개혁이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일반적으로 하청업체가 생산하는 자동차ㆍ조선ㆍ철강업체에 들어가는 주요 부품들은 1차 생산업체를 거쳐 가공ㆍ조립ㆍ판매 등 2~3단계의 유통과정을 거치고 있다. 문제는 1차 생산업체의 생산원가의 두배가 넘는 비용이 유통과정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기업들이 협력업체로 거느리고 있는 주요 하청업체들의 생산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여 유통과정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하청업체들이 직접 부품을 시장에 내다 팔 수 있는 길을 열어 부품업체들의 수입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자동차부품업체 S기연의 박모(48) 사장은 “부품업체들도 원청업체를 통하지 않고 자동차 애프터서비스시장에 부품을 내다 팔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다면 숨통이 트일 것”이라며 “좋은 자동차를 만들려면 부품이 좋아야 하는 만큼 위기의 자동차부품업체를 살릴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철수 안철수연구소 사장은 “IT부품의 경우 정부 구매제도 가운데 조달청에 등록된 품목만이라도 소프트웨어 개발업체가 대형 시스템통합(SI)업체를 통하지 않고 분리 발주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