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입법·사법·행정·기업 고위층 집 많이 샀다

20대 후반 공격적 주택구입, 30대 절반이 자기집 소유<br>전세.월세 살면서 주택구입 가구 크게 늘어

입법.사법.행정부의 고위급 공무원, 기업의 임원 등 한국사회의 상층부 그룹이 지난 2년간 주택을 많이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대 후반의 연령층이 지난 2년간 주택을 공격적으로 사들였으며 30대의 자기 주택 소유비율은 50% 정도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와 월세를 살면서 다른 곳에 자기 집을 사놓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도시가구를 대상으로 직업별, 연령대별, 주거형태별 주택소유가구 비율을 조사한 결과 이렇게 나왔다. ◇ 고위급 인사 소유비율 상승폭 가장 높아 도시가구의 전체 평균 주택소유비율은 지난 1.4분기에 65.09%로 2년전인 2003년같은 분기의 62.03%에 비해 3.06%포인트가 올라갔다. 가구주의 직업군별로는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그룹의 주택소유비율이 84.08%로 2년전 같은 분기의 77.40%에 비해 6.68%포인트나 올라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 그룹의 소유비율은 2003년 2.4분기 78.39%, 3.4분기 81.38%, 4.4분기 80.29%,2004년 1.4분기 82.46%, 2.4분기 81.45%, 3.4분기 84.15%, 4.4분기 84.35% 등이었다. 이 그룹은 입법.사법.행정부의 1급이상 공무원, 기업체 임원, 국회의원, 지방의원, 구청장, 부시장급 이상의 지자체 고위직 등을 말한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그러나 `일반 사무직' 그룹의 주택소유비율은 67.08%로 2년전의 64.68%에 비해 2.40%포인트가 올라가는데 머물렀고 `기술공 및 준전문가' 그룹은 64.19%에서 66.97%로 상승하는데 그쳤다. `서비스근로자 및 상점.시장 판매근로자' 그룹은 59.72%에서 64.55%로 4.83%포인트가 올라갔다.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그룹은 63.09%로 2년전의 61.47%보다 1.62%포인트가 상승했으며 `기능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그룹은 58.77%에서 59.99%로, `단순노무직 근로자' 그룹은 57.46%에서 60.15%로 각각 높아졌다. `무직, 군인, 농어업 근로자 및 기타'는 67.89%로 2년전의 66.03%보다 소폭 올라갔다. ◇ 30대 절반이 자기집 소유 연령별 주택소유비율은 30∼34세가 지난 1.4분기에 45.91%, 35∼39세가 55.83%여서 30대 전체가 50%수준으로 계산됐다. 30대 전반의 주택소유비율은 2년전에 비해 1.98%포인트 오른 것이며 30대 후반은 1.11%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또 20대 후반은 지난 2년간 공격적으로 주택을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5∼29세의 주택소유비율은 1.4분기에 31.56%로 2년전의 25.94%에 비해 5.62%포인트나 상승했다. 반면, 40∼44세는 63.36%에서 64.36%로, 45∼49세는 67.93%에서 70.79%로 각각올라가는데 머물렀다. 50∼54세는 78.48%, 55세이상은 80.43%로 큰 변동이 없었다. 24세이하의 주택소유비율은 8.74%로 2년전의 17.77%에 비해 절반수준으로 떨어졌다. ◇ 전세.월세 살면서 주택 소유자도 많아 현재 전셋집에 살면서 다른 곳에 자기 주택이 있는 비율은 17.38%로 2003년 같은 분기의 9.86%에 비해 7.52%포인트가 높아졌다. 또 월세가구의 자기주택 소유비율은 2.67%에서 7.63%로 상승했고 보증부 월세가구의 자기집 소유비율은 5.44%에서 8.07%로 올라갔다. 사글세를 살면서 자기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가구는 5.12%로 2년전의 3.57%에 비해 상승했다. 또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자기집소유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원수별 주택소유비율은 ▲2인 59.28% ▲3인 63.14% ▲4인 67.39% ▲5인 72.48% ▲ 6인이상 78.11% 등이었다. 가구주의 학력별 주택소유비율은 ▲대학원졸 69.96% ▲대졸 69.94% ▲전문대졸61.13% ▲고졸 61.18% ▲중졸 66.55% ▲초졸 71.40% 등이었다. 초졸의 주택소유비율이 높은 것은 대체로 대상자들이 고령이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윤근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