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무역수지 상황 엄중하다

무역수지가 24개월 만에 흑자에서 적자로 돌아서려는 비상한 상황이다.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이 '1월 무역적자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1월 동향이 마감되려면 아직 2주 이상 시간이 남아 있다. 그럼에도 주무장관이 벌써 적자 운운한 사실은 보통 상황이 아님을 시사한다.

1월 적자는 부진한 선박 수출과 수입 분야에서의 유가상승 등이 원인이다. 지난해 선박은 565억달러어치를 수출해 8대 수출 주력품목 중에서도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그러던 선박 수출실적이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선주들의 경영악화와 이미 건조한 선박의 인도지연 등으로 급감하고 있다. 유가는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문제는 1월만이 아니다. 올해 총체적 교역전망이 매우 어둡다는 데 있다. 주무장관이 새해 벽두부터 우울한 언급을 한 것도 그런 맥락이다. 앞으로 매달 적자를 걱정해야 하는 극단적 사태마저 상정하지 않을 수 없다.

관련기사



무역적자 가능성을 더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유럽 재정위기 때문이다. 올 2~4월 이탈리아를 비롯한 남유럽 국가들의 국채가 동시다발적으로 만기를 맞는다. 차환발행 과정에서 차질이 빚어지면 우리 시장도 대규모 외자이탈 및 외화유동성 부족사태를 피하기 어렵다. 실물과 금융이 맞물려 악순환을 일으키면 우리 경제는 수년 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또 한번의 난국에 직면한다.

지금 밀려오고 있는 수출입 역조의 물결은 대부분 해외 변수들이라는 점에서 정확한 파고를 예측하기도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는 뾰쪽한 묘책이 없다. 해외동향에 대한 신속 정확한 정보파악과 이중삼중의 입체적 수출전략 점검 등 모든 방안이 총동원돼야 한다. 특히 동남아시아ㆍ중앙아시아ㆍ남미 등 신흥국의 대형 사회간접자본(SOC) 프로젝트, 자원개발과 플랜트를 결합한 패키지딜 등을 끌어올릴 방안이 시급하다. 미국ㆍ유럽연합(EU)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유일한 국가로서의 이점을 수출확대로 연결시키는 강력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이런 때일수록 정부와 민간이 머리와 힘을 모아야 한다. 민관 합동 비상대책위 같은 것도 가동태세에 들어가야 한다. 수출 비중이 높은 개방경제 체제에서 무역수지 실적은 대외신인도와 직결되는 상징성이 있다는 점을 모두가 유념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