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또 하나의 악재 중국의 금리인상

긴 침체의 터널에서 벗어나나 싶던 우리 경제에 외풍이 그치지 않고 있다. 유가의 고공행진, 환율의 가파른 하락에 이어 이번에는 중국의 긴축정책 악재가 닥쳤다. 이런 외부요인으로 경제회복 기운이 채 느껴지기도 전에 사라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중국 인민은행은 기준금리를 5.58%에서 5.85%로 0.27%포인트 인상했다. 이에 앞서 중국은 시멘트 등 3개 업종에 대한 투자억제조치를 취했다. 경기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중국은 재작년에도 같은 조치를 한 적이 있다. 중국의 긴축정책은 중국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당장 주가가 철강 업종을 중심으로 30포인트 넘게 급락한 것이 이를 말해준다. 재작년 중국발 악재 때 우리 증시는 한달 새 200포인트나 밀리는 ‘차이나 쇼크’를 겪었다. 일각에서는 금리 인상폭이 미미해 충격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기도 하지만 긴축기조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긴장을 늦출 일이 아니다. 이번 금리인상만으로는 투자과잉을 가라앉히기에 역부족이어서 앞으로 후속조치가 이어질 것이라는 게 국내외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견해다. 추가적인 긴축대책이 계속돼 수요가 줄어들면 우리 기업들의 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또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의 금융 비용 부담도 늘어난다. 그렇지 않아도 고유가ㆍ환율하락으로 수출전선에 먹구름이 드리워지면서 기업의 실적악화 등 향후 경기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는 판에 최대 수출국인 중국 수출마저 차질이 빚어진다면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중국의 긴축정책은 긍정적 측면도 있다. 국제원자재 시장의 블랙홀로 작용하고 있는 중국의 경기가 진정되면 최근 급등세인 원자재 가격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중국 경제가 거품을 걷어내고 연착륙에 성공해 지속 성장을 하면 장기적으로 한국 경제에 득이 된다. 그러나 우리 경제는 두세 달 새 각종 지표가 혼조세를 보이는 데서 보듯 느긋한 상황이 아니다. 중국의 긴축정책이 몰고 올 파장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