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 발사 예정인 다목적 실용위성(아리랑)2호가 아직 위성망(주파수)을 확보하지 못해 발사 자체가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한반도 상공의 인공위성 궤도 경쟁에서 주변국들에 훨씬 뒤처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의 강성종 의원(열린우리당)은 22일 과학기술부 국정감사에서 “아리랑2호가 지난 96년 신청을 한 후 10년이 되도록 주파수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며 “12월 발사 예정임에도 불구하고 중국ㆍ러시아ㆍ베트남과 협의가 끝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아리랑2호는 비(非)정지위성으로 궤도는 인근국가에 통보만 하면 되나 주파수는 상호 중복되지 않도록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
강 의원은 또 “2008년 발사 예정인 정지위성 통신해양기상위성1호도 2003년 11월 위성망(궤도) 등록 신청시 한반도 상공이 아닌 동경 116도 또는 114.5도를 신청했다가 지난해 8월 다시 동경 116.2도 또는 128.2도로 수정 신청하는 등 계획이 철저하지 못하고 이 경우 일본 등 주변국과 마찰 소지도 있다”고 덧붙였다.
강 의원에 따르면 한반도 상공인 동경 124~132도(서울 기준 127도)에는 우리나라 정지위성은 하나도 없이 일본 등 외국 위성만 8개가 돌고 있다. 현재 전세계에서 이미 338개가 발사된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자전속도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통신ㆍ기상ㆍ방송ㆍ지구관측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 세계 각국이 치열한 궤도확보경쟁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210개의 등록신청을 했지만 아직까지 확보한 정지궤도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과기부 측은 “아리랑2호의 경우 일부 국가와 주파수 협의가 끝나지 않은 것은 사실이나 12월까지는 충분히 마칠 수 있다”며 “통신해양기상위성에는 기상(116.2도)이나 통신(128.2도) 측면에 적합하다는 이유로 이 궤도가 선정된 것”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