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인 참수] 건설업계 중동특수 '적신호'

김선일씨 피살사건을 계기로 이라크 현지치안상황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면서 국내 건설업체들의 이라크를 비롯한 중동특수에 빨간불이 켜졌다. 중동특수의 최대 변수로 꼽혔던 치안상황이 악화되면서 대규모 공사 수주는 물론 기존 공사의 착공일정도 차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라크를 포함해 중동에 진출해 있는 건설업체들은 현재 현지 직원들의 안전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며 향후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3일 건설교통부와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이 지난 2월 말 미국 임시행정처(CPA)산하 이라크 재건공사시행위원회(PMO)가 발주한 이라크 재건사업을 2억2천만달러(한화 약 2천600억원)에 수주하면서 중동특수가 되살아나는 듯 했으나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일정정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건설업체로서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주한다 해도 곧바로 공사를 시작할 수 없게 됐다. 더욱이 정부가 치안상황이 호전될 때까지 국내 업체들의 이라크 진출을 가급적자제시킨다는 방침이어서 상황에 따라 이라크 재진출 시점은 상당히 늦어질 가능성이 높다. 대규모 이라크 재건사업을 처음 수주한 현대건설의 경우 현지상황이 갈수록 악화되자 이라크에 남아있는 직원 1명마저 가족들이 머물고 있는 요르단으로 철수시킬계획이다. 현대건설은 특히 이달중 착공하려던 사업계획이 사실상 어렵게 되자 발주처와다시 협의해 착공시기 등을 7,8월로 재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오무전기도 그동안 현지 철탑공사 등을 위해 이라크로 다시 들어갈 준비를 해왔지만 이번 사건을 계기로 시점을 더 늦출 수 밖에 없게 됐다. 이라크 진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경남기업도 지난 2월부터 이라크현지사무소 개설을 추진해 왔는데 당분간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이라크에서의 정상적인 프로젝트수주나 공사진행이 어렵다"면서 "치안상황이 호전되야만 각종 공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특수를 누리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건교부 관계자도 "당분간은 국내 건설업체들이 이라크 등 고위험국가에 진출하는 것을 가급적 제한할 방침"이라면서 "따라서 국내 건설업체들의 수주계획도 일정정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림산업과 SK건설 등 이라크 이외 중동 국가에 진출해 있는 기업들은 각종 사업에 차질을 빚지나 않을까 우려하며 대책마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쿠웨이트에서 정유공장을 짓고 있는 SK건설은 "쿠웨이트는 상대적으로 안전한지역이긴 하지만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현장 직원들에게 외출자제 등 안전에 더욱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고 말했다. 한편 건교부에 따르면 현대건설의 이라크 재건사업 수주를 계기로 해외건설이활기를 되찾으면서 지난 1-5월 해외건설 수주액은 59건, 30억6천200만달러로 작년동기의 70건, 8억9천900만달러에 비해 건수는 11건 줄었지만 액수는 3.4배로 증가했다. (서울=연합뉴스) 심인성 김희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