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역차별 받는 서울디지털단지

개발경제시대의 수출 주역이던 구로공단이 활력을 되찾기 시작한 것은 지난 1997년 서울디지털단지로 이름을 바꾸면서부터다. 첨단정보, 지식산업 등 4개 업종 중심으로 단지가 재편되면서 최근까지 7,500여 개에 달하는 IT벤처ㆍ중소기업들이 모여들어 어느덧 벤처기업의 메카로 자리잡았다. 양적인 화려함과는 달리 서울디지털단지의 속사정은 좋지 않다. 이곳에 입주한 업체들은 반월ㆍ시화ㆍ남동 등 수도권 산업단지에 위치한 업체들과 비교할 때 평균 고용인 수나 매출 등의 면에서 상대적으로 영세하다. 산업단지공단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산업단지 입주업체들이 전통 제조업 위주인 것과는 달리 서울디지털단지는 첨단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이 입주해 있어 국가 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이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아쉽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이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지원 방향은 업체들 간 기술ㆍ정보의 교류 활성화다. 전문가들은 산업자원부의 혁신클러스터(innovation clusters) 시범산업단지 지정 등을 예로 들며 업체들이 이를 통해 틈새시장을 발굴하고 신제품 개발의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지난해 6월 삼성경제연구소도 보고서를 통해 디지털단지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창출을 통해 업그레이드되기 위해서는 혁신클러스터 시범산업단지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 바 있다. 하지만 서울디지털단지는 지난해 말 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단지로 추가 지정받는 데서 배제됐다. 이를 두고 참여정부가 지형균형발전이라는 시각에 입각해 서울디지털단지는 서울에 위치해 있으니 그냥 둬도 잘 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수도권의 남동ㆍ시화단지 등이 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단지로 지정돼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앞으로 우리나라 경제의 허리가 될 강한 중소기업이 더 많이 나오기 위해서는 미래의 발전가능성이 무궁한 서울디지털단지에 대한 지원과 육성이 필요하다. 성장가능성이 큰데도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시각에 얽매여 역차별받는 모양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