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간-정부 '납북어부 규모' 논란

"최소 50명 더 있다" vs "추가정보 있어야"

당초 1966년 중공에 납치된 것으로 알려졌던 길용호의 선원이 남측의 가족들에게 편지를 보내옴에 따라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많은 납북자들이 북한에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통일연구원이 정부의 협조를 받아 만드는 '북한인권백서'는 북한이 휴전 이후 현재까지 435명의 어부를 억류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최성룡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는 19일 "정부쪽에서 발표한 것보다 50명 정도 더 많은 명단을 확보하고 있다"며 "정부가 이들 명단에 대해서도 시급히 납북자로 지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성룡 대표는 길용호 선원 14명, 김병도씨 귀환으로 확인된 대영호 선원 5명,이재근.진정팔.김병도씨가 북한에서 목격했다고 주장하는 어부 20명 등 39명은 거의확실한 납북자 명단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길용호 선원 뿐 아니라 대영호 선원은 남측 가족들에게 편지까지 전해오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대표는 "남쪽의 가족 중에서 자신의 가족이 납북된 것 같다고 연락을 주는 어부가족도 10 가족을 넘는다"면서 이 같은 내용을 통일부와 국가정보원 등 관계기관에 이미 알렸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정부는 타당성을 일면 인정하면서도 납북어부 명단에 올리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번에 편지를 보내온 북한 거주 길용호 선원은 1966년 실종 때 출항선원 명단에 이름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 만큼 당시 정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선행돼야 한다는 논리인 셈이다. 귀환 납북자들이나 납북자 단체들이 주장하는 재북 납북자 규모에 대해 이해는하지만 무조건 일방적인 주장을 근거로 정부의 명단을 만들 수는 없다는 것이다. 또 같은 배를 타다 북한에 끌려갔다가도 남측으로 돌아온 동료들이 있는 만큼 과연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억류된 것인지에 대해 보다 더 면밀한 검토와 확인작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이와 함께 일각에서는 과거사 진상 규명과 조사를 위한 '진실과 화해위원회'라는 일종의 국가기구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이 기구에서 납북어부 문제를 다루고 치유하는 노력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성룡 대표는 "납북어부 가족 입장에서는 북으로 간 자신들의 가족이 정부 납북자 명단에 오르는 것이 큰 위안이 된다"며 "생존 납북자의 증언이 있는 만큼 정부의 발빠른 대응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