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장부에 미반영 서브프라임 손실 아직도 많다"

하나금융연구소 "300억~880억弗 시장에 충격줄듯"


"장부에 미반영 서브프라임 손실 아직도 많다" 하나금융연구소 "300억~880억弗 시장에 충격줄듯" 우승호 기자 derrida@sed.co.kr 서브 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의 노출되지 않은 위험을 가리키는 변동지분실체(VIE)에 대한 경고등이 켜졌다. VIE는 실제로 손해가 났지만 회계상의 이유로 아직 장부에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총 손실 규모가 300억 달러에서 88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골드먼 삭스나 리먼 브라더스 등 신용위기의 직접적 영향이 적었던 금융회사들도 VIE 손실이 수십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국제금융시장에서 상당한 금융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6일 “서브 프라임 충격의 정점에 VIE가 있다”며 “VIE의 가치평가 및 손실처리와 관련된 불확실성ㆍ불투명성이 금융시스템의 신뢰회복에 상당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VIE(Variable Interest Entity)는 CDO(부채담보부증권)ㆍCLO(대출담보부증권)ㆍABCP(자산담보부 기업어음)ㆍCIV(구조화 투자회사) 등에 투자하는 부외 특별목적기구(SPV)를 총칭하는 회계적 개념이다. 투자 은행들은 각종 SPV를 만들어 여러 파생상품에 투자한다. SPV가 투자한 파생상품이 손실이 났다고 곧바로 SPV 손실로 연결되지 않는다. 손실 규모가 투자 규모를 넘어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하거나 투자에 대한 손실을 감당하지 못하는 등 손실 규모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야 회계장부에 반영된다. 시티그룹은 지난해 2ㆍ4분기까지 ABCP에 대한 손실이 하나도 없었다. 그러나 3ㆍ4분기에는 690억 달러의 위험자산이 발생했다. 이는 ABCP에 대한 투자가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니라 손실 규모가 커지면서 회계에 반영하게 됐기 때문이다. 무디스와 미국 연방이사회는 월가 금융기관의 VIE가 7,8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한다. 기관별로는 시티그룹이 840억 달러로 가장 많고, 메릴린치 226억 달러, 골드만삭스 189억 달러, 뱅크어브어메리카 136억 달러, 모건스탠리 72억 달러, 리만 브라더스 61억 달러 등이다. 무디스는 총 VIE 중 300억 달러, 크레딧사이트는 880억 달러의 추가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금융회사들이 별도의 회사를 세워 파생상품에 투자할 경우 손실이 바로 장부에 반영되지 않는다”면서 “지금까지는 직접 투자한 것에서 손실이 발생했지만 앞으로는 SPV 등을 통해 간접 투자한 상품에서 손실이 나기 시작하면 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안겨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