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김종창 금감원장 "저축銀부실 다같이 노력하면 해결 가능"


금융감독당국이 최근 불거진 저축은행의 부실 문제에 대한 진화에 나섰다.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1일 출입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저축은행의 부실과 관련해 “다 같이 노력하면 어느 정도는 해결 가능하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저축은행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재무건전성 평가)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해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라며 “몇 개 저축은행이 파산위기에 있다는 표현은 과장된 것이며 과잉 대응해서 문제를 더 키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 상태를 가만히 놔둔 상황을 가정한 것이기 때문에 테스트 결과만 갖고 저축은행 문제가 심각하다고 하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김 원장은 이어 현재의 부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그는 “당국도 위험한 부분이 무엇인지 알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잘 해나갈 것”이라며 “현재 금감원과 경영정상화 약정(MOU)을 맺은 61개 저축은행이 대체로 계획대로 자구노력을 하고 있고 문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미리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현대건설 매각을 둘러싼 갈등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김 원장은 “기본적으로 양자 간 자율적으로 해결할 문제”라며 “현재로선 당국이 구체적으로 할 것이 별로 없다”고 강조했다. 채권단이 현대그룹과 동양종합증권의 풋백옵션 계약에 대한 사실확인을 금융당국에 요청키로 한 것과 관련해서는 “금융사의 건전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면 볼 수 있겠지만 일단 계약조건을 봐야 알 수 있는 부분”이라며 “지금은 계약조건을 모르는 상황인데다, 당사자간 문제이기 때문에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옵션 만기일 쇼크조사와 관련해서는 결과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원장은 “지난 7일 5명의 검사역이 홍콩에 검사를 하러 가서 관련자들을 조사하고 있다”면서 “결과가 100% 나오기 전까지는 장담하기 어렵고 좀 기다려봐야 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