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상장지수펀드시장 성장세 무섭네

일평균거래대금 기준 레버리지(2위), 인버스(4위) 올라<br>통화ㆍ원유 ETF 잇따라 출시 전망


올들어 코스피지수 1,750선을 상단으로 하는 박스권 장세가 이어지면서 상장지수펀드(ETF)가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지수 하락시 수익을 낼 수 있는 인버스 ETF와 차입을 통해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는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올 하반기에는 환율이나 원유에 투자하는 ETF가 출시를 앞두고 있어 ETF 상품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상반기까지 국내 ETF 시장의 순자산총액은 4조7,250억원으로 지난해 말(3조7,894억원)보다 25%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종목 역시 50개에서 57개로 증가해 ETF시장이 확연한 성장세를 펼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올 들어 지수 변동폭 2배의 수익률을 내는 레버리지ETF와 지수 하락폭만큼 수익을 얻는 인버스ETF 등 신종 상품이 잇따라 출시되는 한편 거래규모도 급증했다. 올 들어 지난 15일까지 하루 평균 거래대금 규모가 가장 컸던 상품은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코덱스200(361억원)’이었고 ‘코덱스레버리지(198억원)’, ‘코세프200(190억원)’, ‘코덱스인버스(132억원)’, ‘타이거200(93억원)’순이었다. 지난해 말 1~5위를 모두 코스피200을 추종하는 ETF가 차지했던 점을 고려할 때 레버리지ㆍ인버스 ETF가 눈에 띄는 성장을 거둔 셈이다. 이 상품들의 선전은 단순히 지수만을 따르는 데서 벗어나 새로운 투자 방식을 제공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이끌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최근 박스권 장세에서 상단에서는 인버스상품을, 하단에서는 레버리지 상품을 투자하는 전략도 구사할 수 있었다는 점도 이 상품들의 거래규모를 늘린 원인으로 분석됐다. 김두남 삼성자산운용 ETF운용 2팀장은 “시장이 한쪽 방향으로 흐르면 인버스(하락장)나 레버리지(상승장) 중 한 상품만 인기를 끌텐데 최근 박스권장세가 두 상품 모두 거래량을 늘리는 데 한 몫 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ETF운용사별로는 시장 선도역할을 했던 삼성자산운용의 ‘코덱스(KODEX)’상품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우리자산운용의 ‘코세프(KOSEF)’가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덱스 ETF는 올 들어 15일까지 누적 거래대금 9조4,513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ETF누적거래대금(14조5,534억원)의 65%를 차지했다. 지난해 59%다 6%포인트 늘어난 수치로 ‘코덱스레버리지’, ‘코덱스인버스’의 인기몰이가 점유율 증가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코세프ETF는 지난해 15%에서 올해 21%로 비중을 확대했다. 주력상품인 ‘코세프200’을 중심으로 채권에 투자하는 ‘코세프국고채’, ‘코세프통안채’등이 선전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올 하반기에는 우리자산운용이 원ㆍ달러 환율을 이용해 통화에 투자하는 ETF를 시장에 내놓을 전망이고, 미래에셋맵스 자산운용은 원유에 투자하는 ETF를 출시할 계획이어서 국내 ETF시장이 다양한 상품을 무기로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시장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