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004 제약업계 경영전략] 종근당

종근당(사장·김정우)은 지난해 난소암 등 치료제로 신약승인을 받은 항암제 `캄토벨`을 올해 성공적으로 출시하고 수익성 중시 정책을 계속 펼친다는 전략이다. 종근당은 지난해 1,714억원(추정치)의 매출실적이 예상되고 있으며 올해에는 신약 캄토벨, 당뇨병치료제 등 제네릭제품, 지난해 발매된 제품들의 시장정착 등으로 13.2% 증가한 1,940억원(경상이익 140억원)의 매출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집중육성 품목은 순환기계·면역억제제·고지혈증치료제 등이며 항암제 신약 `캄토벨`에 대한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영업사원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의약정보담당자(MR)를 적극 육성, 종합병원 시장 영업도 강화하고 있다. 일반의약품은 자양강장 드링크 `산에는 삼`, 한방파프제인 `동의파프`를 대형 품목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완제약 日수출 추진=급변하는 약업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영업조직을 영업현장 밀착형 조직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조직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공장과 종합연구소를 기술본부로 통합, 조직을 유기적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의사결정을 신속히 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올해 항암제 캄토벨주, 당뇨병치료제, 항진균제 등 17품목을 발매할 계획이다. 지난해 고지혈증치료제(심바로드), 소염진통제(동의파프), 자양강장제(산에는 삼), 해열진통소염제(펜잘에스정) 등 전문ㆍ일반의약품 19품목을 발매했으며 이 중 심바로드는 첫해 3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려 올해 매출 확대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지난해 독일 헥살사에 OMP 등 완제의약품으로 70억원 정도의 수출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에는 일본시장 완제품 수출도 추진할 계획이다. ◇연구개발=종근당은 제약기업의 생존은 신약개발과 경쟁력있는 제품개발에 있다고 보고 매출액의 5%를 R&D에 투입하고 있다. 신약 및 퍼스트 제네릭을 중심으로 한 신제형 개발에 더욱 집중적인 노력과 투자를 기울일 계획이다. 신약 연구개발에서는 항암제, 당뇨병ㆍ패혈증ㆍ비만치료제 등 매년 1개 이상의 임상시험약(IND)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신약허가를 받은 켐토테신계 항암제(난소암ㆍ소세포폐암) `캄토벨`을 올해 시판한다.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영역을 넓히기 위해 개발중인 먹는 제품도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다. 라이선싱해간 미국 알자사도 스텔스 리포좀 기술을 적용한 신제형 항암제에 대해 미국에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밖에 혈관신생억제성 항암제(CKD-732)가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당뇨병치료제(CKD-501)에 대해 올해 임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신제형 개발에서는 퍼스트 제네릭 개발을 비롯해 새로운 염의 도입 등 안정성ㆍ흡수율을 개선한 개량신약에 역점을 두고 있다. 세계시장 진출을 목표로 특허만료되는 거대 품목들의 신제형 개발과 약물전달기술을 이용한 신규제제 개발, 3세대 세파계 항생제의 경구제 개발을 위해 미국 대학과 공동연구를 수행 중이다. 생물공학제품의 지속성 제제 및 경구제 개발을 위해 국내 연구기관들과 공동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박현욱기자 hwpark@sed.co.kr>

관련기사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