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칠레 FTA 최근10개월 對칠레 무역적자 22억弗

한ㆍ칠레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주요 수입품인 동(銅) 가격 폭등으로 우리나라의 대(對)칠레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한ㆍ칠레 FTA 발효 3년째인 지난해 4월 이후 10개월간 우리나라의 대칠레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22억3,900만달러에 달했다. 협정발효 직전 1년간(2003년 4월∼2004년 3월) 무역수지 적자액 8억200만달러보다 179.2% 확대된 셈이다. 같은 기간 수출은 15억7,600만달러로 협정발효 직전 1년간보다 199.6%, 수입은 38억1,500만달러로 187.3%나 많았다. 칠레 무역수지가 악화된 것은 칠레산 수입제품의 79.5%(2006년 기준)를 차지하는 동(銅)의 국제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동 제품의 국제 가격은 한ㆍ칠레 FTA 발효 직전 1년간 톤당 평균 2,050달러에서 발효 후 3년째는 톤당 7,080달러로 245% 이상 폭등했다. 동을 제외한 주요 품목의 수출입 증가율(연평균)을 보면 수출은 자동차(51.8%), 무선통신기기(107.6%), 컬러 TV(23.5%), 경유(308.5%) 등 공산품 위주로 큰 폭 늘어났고 수입은 돼지고기(125.3%), 포도(108.8%), 포도주(321.1%), 키위(583.3%) 등 농산물 위주로 확대됐다. 수출입 규모에 비해 투자 부문 실적은 미미했다. 우리나라의 대칠레 투자는 협정발효 직전 1년간 1,480만달러에서 발효 후 1년차에는 230만달러로 급감했고 2년차에는 350만달러, 3년차에는 390만달러를 기록했다. 칠레의 대한국 투자는 발효 후 1년차 710만달러, 2년차 40만달러를 각각 기록했고 3년차에는 투자실적이 없었다. FTA 발효 이후 지난해 한국에서 칠레로 입국한 사람은 총 6,764명으로 2003년 4,291명에 비해 57.6% 증가했고 칠레 국민의 방한은 2003년 799명에서 지난해 1,348명으로 68.7% 늘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