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건강 관련 여행수입이 지난해 1년간 3억4,800만달러를 기록했다는 한국은행 집계 결과가 나왔다. 전년의 3억7,290만달러에 비해 6.5% 줄어든 수치다. 관련 통계를 한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의 권고에 맞춰 2006년부터 산출한 이래 수입액이 줄어든 것은 지난해 처음 나타난 현상이다. 더욱이 이 부문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마무리된 후 성장률이 2011년 46.0%와 2012년 54.3%를 거쳐 2013년에 84.9%로 정점을 찍었다가 다음해 -6.5%로 급전직하한 것이라 걱정스럽다.
한류에 힘입어 탄력을 받던 의료관광이 벌써 성장한계에 부딪힌 것은 아닌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나라 의료산업은 세계적인 의료기술 경쟁력을 갖추고도 그동안 정부의 규제정비 지연과 정치권의 미온적 입법활동으로 본격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하지 못한 채 시간을 허비했다. 그러다 지난해 하반기 들어 루블화 가치가 폭락해 러시아 환자 유치가 위축되면서 내리막에 들어선 것으로 분석된다. 급기야 최근에는 서울 강남의 한 성형외과에서 수술을 받던 중국인 환자가 뇌사 상태에 빠지는 의료사고가 발생했다.
국내 최고 인재들이 집중된 의료 분야가 성장 잠재력을 잃기 전에 발전의 전기를 마련해야 한다. 의료는 더 이상 단순한 내수 서비스가 아니라 수출 비즈니스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아시아권 의료관광 1위인 태국은 스파까지 의료관광 범주에 넣을 정도로 비즈니스 육성에 적극적이다. 우리도 외국인 환자와 보호자가 편히 쉴 수 있는 '메디텔'을 양성화하는 등 제도정비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 새정치민주연합도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과 관광진흥법·국제의료사업지원법 등의 저지를 고집할 때가 아니다. 의료관광 수입 감소는 야당도 고민해야 할 문제다. '의료관광 코리아'가 꽃피기도 전에 시들지 않게 힘을 합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