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車노조 ‘취업장사' 前 노조위원장도 개입

검찰, 5~6명 입사청탁 확인…울산노동계 ‘충격’


현대차 노조위원장을 두 번이나 역임했던 이헌구 현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장을 포함한 전ㆍ현직 노조 집행부들도 현대차 취업장사에 깊숙이 간여한 사실이 검찰 수사 결과 드러났다. 이에 따라 전ㆍ현직 노조 집행부는 물론 이 전 위원장의 검찰 소환조사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노조 취업비리를 수사 중인 울산지검 특수부(한찬식 부장검사)는 27일 이헌구 전임 노조위원장이 지난 2002~2003년 사이 취업희망자 5~6명을 사측에 입사 청탁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검찰은 최근 현대차 울산공장 인사ㆍ노무팀 사무실에서 압수한 신입사원 입사 구비서류와 면접자료, 노무 관련 기록들을 분석한 결과 이 전 위원장이 ‘추천인’으로 된 사례를 대거 확인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에 따라 이 전 위원장이 취업희망자들로부터 금품을 받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본인과 가족 계좌, 추천을 부탁한 입사지원자 및 가족의 계좌를 집중 추적했다. 검찰은 특히 당시 입사 추천 대가로 금품을 주고받는 것이 관행이었기 때문에 의혹 해소 차원에서라도 조만간 이 위원장의 소환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검찰은 이와 함께 이번 현대차 채용비리 수사과정에서 회사측에 취업청탁을 한 것으로 드러난 노조 간부들의 수는 모두 30여명선에 달하며 이들 중 상당수는 청탁 대가로 금품을 받은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이미 구속 또는 불구속된 8명의 노조 간부 외에도 최소 10여명이 추가로 사법처리 대상에 오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돈을 주고 입사한 사람들이 자진신고를 할 경우 불이익이 가지 않도록 적극 배려할 것”이라며 “돈을 받은 노조 간부들도 양심선언 등을 한다면 최대한 선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헌구 전 노조위원장이 취업청탁을 한 사실이 알려지자 울산 노동계는 적잖은 충격에 휩싸인 모습이다. 이 전 위원장은 2002년 ‘임금 삭감 없는 주5일제’ 관철을 위해 60여일간의 현대차 파업을 이끄는 등 현대차 노조 위원장을 두 번이나 지낸 울산 노동계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날 현대차 노조 홈페이지에는 ‘전 위원장도 취업청탁이라니 믿을 수 없다’는 내용 등의 글들이 줄을 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