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어떤 위기상황서도 기업은 살려야"

윤증현 前 금감위장 본지 단독인터뷰


윤증현(사진) 전 금융감독위원장은 29일 “경제 위기상황이라도 어떻게 해서든 기업과 금융회사는 살려야 하며 기업의 소중함을 이런 때일수록 더 느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전 위원장은 이날 서울 내자동 사무실에서 가진 서울경제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경제위기를 겪고 있지만 어느 나라도 기업은 죽이지 않는다. 한번 무너지면 다시는 못 따라간다”고 못박은 뒤 “한번 무너진 기업을 다시 일으키기 위해서는 엄청난 대가를 치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외환위기 직후 구조조정 과정에서 주력기업들이 수없이 무너진 뒤 나중에 뼈저리게 후회했던 경험을 담아낸 충고이다. 그는 “정책 타이밍을 놓친 것이 현정부의 잘못”이라고 꼬집으면서 “은행 차입에 대한 지급보증만 해도 카운터어택, 즉 다른 나라와 동시 처방을 했어야 하는데 타이밍을 놓쳤다“며 “지금은 선제적으로 충분하게 하되 책임과 옥석은 나중에 가리면 된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에도 적극적인 자세로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윤 전 위원장은 “환율불안 원인이 은행 등의 달러 조달 어려움에서 기인한 것인데 한은이 적극적으로 나섰어야 했다”며 “일단은 (기업과 경기가) 살고 봐야 한다. 물가를 걱정할 때가 아니다. (민간에서) 쥐고 있는 것을 스스로 풀 때까지는 유동성을 대폭 풀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책처방에 대해 윤 전 위원장은 “기준금리를 추가로 낮추고 재정과 감세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총력전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전 위원장은 차기 경제 사령탑으로 거론될 만큼 금융시장에서 강력한 카리스마를 지니고 있으며 최근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의 민간 전문위원으로 위촉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