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기업의 신규인력 채용 촉진하려면

기업들이 올해 신규 채용인원을 지난해보다 더 늘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00인 이상을 고용한 1,400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은 지난해보다 8.4% 늘어난 9만4,700명을 새로 뽑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내역을 보면 신입직이 71.6%를 차지하고 있고 경력직은 28.4%로 청년실업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84.7%를 정규직으로, 나머지는 비정규직으로 뽑아 정규직의 비율을 크게 늘린 점도 고용안정을 위해 바람직한 일로 평가된다. 소비와 설비투자가 회복될 기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고용까지 활기를 띠면 경제회복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기업들이 신규채용인력을 늘리기로 했지만 일자리창출이나 성장잠재력확충을 위한 인력확보에는 다소 미흡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새로 직원을 뽑는 이유로 이직이나 퇴직으로 인해 생긴 빈자리를 채우는 결원충원이 53.3%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장기적인 인재확보를 위한 채용은 22.7%에 그쳤고 신규투자를 늘리거나 가동률증가로 인한 고용은 각각 11.9%와 10.8%였다. 비제조업체 가운데는 55.6%가 신규채용을 늘릴 계획인 반면 제조업은 49.3%에 그치고 있는 점도 우리 경제의 장기적인 경쟁력확보를 위해서는 염려스러운 대목이다. 제조업의 지속적인 위축과 비제조업의 이상비대화는 부가가치창출이나 고용증대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현재 우리나라 근로자 가운데 제조업 종사자 비중은 19.0%에 그쳤다. 이는 경쟁 상대국인 대만의 27.1%에 비해 크게 낮을 뿐만 아니라 선진국인 독일의 20.6%, 이탈리아의 21.7%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다. 제조업의 고용비중하락은 양극화 문제를 고착시킬 뿐만 아니라 성장동력을 떨어뜨린다는 점에서 걱정스러운 일이다.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고용흡수력이 큰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아울러 노사관계 안정을 통해 기업들이 인력 채용에 적극 나서도록 촉진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